닫기
하단 검색창 입력에 따른 출력 예
* 신입.(콤마) 입력 → 신입만 출력
* 경력.(콤마) 입력 → 경력만 출력
* 건설 선택, 경력.(콤마) 입력 → 건설&경력 출력
* 제조 선택, 충북 입력 → 제조&충북 출력
사이트 내 전체검색
 


처음으로 안전뉴스 구인정보 Q & A 자료실
 


Q & A

A : MSDS 관련 문의입니다.

페이지 정보

운영자 작성일16-07-26 1,970 0

본문

------------------------ [원 글] ------------------------

안녕하세요 문의좀 드릴려구요.

 

피혁공장내배합시에 A,B,C 화학물질을 섞어서 D라는 화학물질이 나왔을경우에 D라는 화학물질에 대해서도 MSDS를 만들어서 제공해야되나요??

(D라는 물질은 제조하거나 유통과정이아니라 제품만들기전 배합할때 생성되는 물질이구요, 물건의 종류에 따라 배합되는 물질은 다릅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 [원 글] ------------------------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아래 글을 참조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말씀하신 배합물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MSDS 작성대상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럼 이만, 안전제일!   

 

 

--- 아 래 ---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에 의하면 화학물질 또는 화학물질을 함유한 제제(製劑 : Formulations)의 제조자, 수입자, 사용자, 운반자, 저장자는 MSDS 즉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작성하여 취급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장소에 비치하도록 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이란 유해성이 있는 모든 화학물질을 의미한다. 이에 비하여 유해성이 없는 무해화학물질이란 사람들이 음식물용으로 이용하는 것들이나 가축사료용으로 이용되는 것들에 지나지 않는다. 인간이나 동물이 먹어서 이로운 화학물질을 제외하고서는 모두 유해화학물질로 보면 된다. 또한 제제라고 하는 것은 생약 제제라는 말처럼 어떠한 목적으로 조합하거나 성형한 혼합화학물질을 뜻한다.

 

화학물질은 순수하게 존재하는 경우가 별로 없고, 거의 모두가 혼합된 형태로 존재한다.99%이상으로 순수하게 존재하는 화학물질을 순수 화학물질(Pure Chemicals)이라고 한다.

 

화학물질들이 그저 단순히 혼합되어 있다면, 이는 제제(製劑)이다. 제제(Preparations 또는 Formulations)는 그저 존재 형태를 가질 뿐인 혼합물이다.

 

화학물질들이 혼합되어져 있는 형태에는 불순물, 화합물, 배합물이 있다. 이러한 혼합물(混合物 : Mixture)이 그저 그대로 특성없이 섞여져 있으면 제제이다. 말하자면 물질특허(物質特許 : Product Patent)를 받지 못한 상태의 혼합물이라면 제제라고 불러야 한다. 

 

물질특허가 있는 혼합물에는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가 붙여져 있고, 이러한 물질은 단일화학물질에 속하며 화학물질의 이름은 여러개이기도 하지만, CAS번호는 물질당 하나뿐이므로 유용하다.

 

불순물(不純物 : Impurities)이란 필요치 않는데도 불구하고 불순하게 들어가 있는 화학물질이므로 이러한 형태의 혼합물은 대부분의 화학물질 존재형태로 보면 된다. 불순물이란 정제과정에서 기술적, 경제적으로 제거되지 아니한 화학물질로 정의할 수 있다.

 

화합물(化合物 : Chemical Compound)이란 화학적 결합의 형태로 섞여져 있는 화학물질이다. 이온결합이나 배위결합 및 공유결합으로 섞여져 있으면 순수내지 단일의 화학물질에 속하지만, 수소결합이나 반데르발스 결합으로 섞이어 있으면 혼합물의 일종으로 보게된다.

 

이에 비하여 배합물(配合物 : Compound) 이란 어떠한 목적으로 그 성분들을 일정한 비율로 섞은 혼합성의 화학물질이다. 우리들의 주변에 존재하는 배합비료가 그대표적 실례이다. 

 

배합비료란 농작물에 필요한 양만큼의 질소와 인과 칼리가 포함되도록 일정비율(一定比率)로 혼합한 화학비료이다. 배합사료도 이와 같은 배합성의 무해, 유용성의 화학물질 혼합물이다.

 

MSDS의 작성대상이 되는 화학물질은 유해화학물질과 그 제제이다. 유해화학물질과 그 제제가 사업장 밖으로 나가게 되면 화학제품이 되게 된다.

 

이러한 화학제품에 대하여서는 MSDS를 작성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업장 즉 공장 밖으로 나가지 아니하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하여서는 MSDS를 작성하여 공정별로 그 관리요령을 게시하여야 한다. 비록 판매되지 아니하는 사업장 내부용의 유해화학물질이라고 하더라도 취급근로자의 안전보건은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다. 어찌보면 이러한 유해물질이 생산공정중 또는 생산단계중의 중간생성물질(중간체 : Intermediate)이라고 한다면 MSDS를 작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중간체라고 하더라도 취급부서의 근로자는 보호되어야 하므로 그 기업체의 연구소 단위에서는 그 물질과 MSDS 작성을 연구하여야 하는 것이다.

 

MSDS를 작성하여야 하는 유해화학물질이 그 자체로 순수하게 존재하는 경우는 별로 없으며,단일화학물질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부분이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혼합물이 그 자체로서 특정한 물리화학적특성을 갖고 있다면, 이미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가 물질당 하나씩 붙인 Chemical Abstracts Service Number(CAS No.) 가 부여되고 있고, 이미 선진국에서는 그것이 상품화되어, MSDS도 판매되거나 제공되고 있으므로 MSDS의 작성대상을 별도로 생각할 필요는 없다.

 

MSDS의 작성대상이냐 아니냐로 고민하여야 할 대상은 사실상 혼합물이다. 

 

화학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제공되고 있지만, 단일화학물질로 인정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유해화학물질들만으로 혼합되어져 있는 경우가 아니므로 판단하기 어려운 것이다. 유해화학물질만으로 구성된 복합적 혼합물이라면 MSDS에 그 조성을 밝히고 그 특성들을 밝히면 된다. 이 경우에도 발암성의 물질인 경우에는 0.1% 이상으로 함유된 유해물질을 명백히 하여야 하고, 일반적 조성이라고 한다면 1% 이상 함유된 유해물질을 명백히 하면되는 것이다.말하자면 그 조성을 A% + B% + C% + ···· = 100% 로 해주면 완전하게 된다. 이는 어느정도까지 그 조성분을 밝히느냐의 문제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물론 그 조성을 상세히 밝히는 것이 그 제품의 경쟁력 확보에 문제가 되는 정보 보호사항일 수도 있다. 이러한 기밀적 정보보호라면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에서 규정하는 정보보호 대상이어야 하고, 이 법에 의한 인가를 받아야 한다. 이 법에 의하여 인가된 기간내에서만 그 조성의 정보보호가 가능한 것이다.

 

혼합물의 유해결정은

 

① 혼합물의 독성이 전체로서 시험된 경우, 그 시험결과를 유해성여부를 판단하는 기초로 사용한다.

② 혼합물의 물리적 위험물질인지 여부가 전체로서 시험되지 않은 경우 혼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단일화학물질에 관한 자료를 통해 혼합물의 물리적 잠재유해성을 평가할 수 있다.

③ 혼합물이 건강장해물질인지의 여부가 전체로서 시험되지 않은 경우 혼합물에 건강장해물질이 전체의 1%이상(무게비)을 차지하고 있다면 당해 혼합물은 건강장해물질과 동일한 건강장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다만, 발암성물질은 0.1%이상 포함하고 있다면 그 혼합물은 발암성이 있다고 본다.

 

 

[자료출처 : 안전보건공단]

 



Q & A

전체 15,588건 49 페이지
Q & A 목록
A : psm대상사업장인데요 안전밸브파핑테스트주기에관해

------------------------ [원 글] ------------------------psm대상 사업장인데요psm이행상태점검을 저번에 받았을때 압력용기의 안전밸브에 대해서 파핑테스트를 하라고 벌금이나와서진행 하였었는데요또 테스트주기가 정해진건 미리 해두려하는데 psm파일을 읽어봐도 파핑테스트나 점검주기에 관한사항이 안보이는데안전밸브파핑테스트는 ...



16-08-01 · 2,992 · 0
A : A : psm대상사업장인데요 안전밸브파핑테스트주기에관해

감사합니다 압력용기만 정기검사가 공문으로 날아오고해서 법적으로만 하는줄알았는데 이번에 알게 되었습니다. 그럼 모든기기의 설치된 안전밸브는 다 검사주기별로 파핑테스트를하는거군요 한가지 궁금한사항이있는데 레버나 고리를 이용한 안전밸브는 실시하지 않아도 되는 비대상이고 그 외에 안전밸브는 매년1회이상이 기본인것인데 예전에 있던 안전밸브는 벌금이 부과 되면서 파핑...



16-08-01 · 1,563 · 0
A : A : A : psm대상사업장인데요 안전밸브파핑테스트주기에관해

------------------------ [원 글] ------------------------감사합니다 압력용기만 정기검사가 공문으로 날아오고해서 법적으로만 하는줄알았는데 이번에 알게 되었습니다. 그럼 모든기기의 설치된 안전밸브는 다 검사주기별로 파핑테스트를하는거군요 한가지 궁금한사항이있는데 레버나 고리를 이용한 안전밸브는 실시하지 않아도 되는 비대상...



16-08-01 · 1,709 · 1
A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질문드립니다.

------------------------ [원 글] ------------------------안녕하세요 운영자님 매 번 성실한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있는 현장이 총 도급액이 220억원입니다.건설업은 120억원부터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설치대상으로 알고 있는데이 120억원이 순수하게 토목공사에만 적용되는지 아니면 총 도급액을 기준...



16-08-01 · 1,590 · 0
A : 안전관리비

------------------------ [원 글] ------------------------스포츠고글(보안경?)근로자 핀등 눈에튀는거방지용으로 안전안관리비 가능한가요?------------------------ [원 글] ------------------------안녕하세요~운영자 입니다.예전의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별표2의 ...



16-07-30 · 1,984 · 0
A : 철거공사 준비

------------------------ [원 글] ------------------------안녕하세요 ㅎㅎㅎ 신입 안전관리자입니다.이번에 아파트 재건축현장에 투입되는데요,, 실 착공은 10월 이후에 들어갈거 같습니다..철거공사가 8월부터 시작되는데 준비해야 하는 서류가 무엇이 있을까요? 철거공사는 처음이라...철거업체 근로자나 장비 안전교육을 실시하...



16-07-30 · 2,099 · 0
A : 신입안전관리자 질문입니다.

------------------------ [원 글] ------------------------안녕하십니까.다름이 아니라 제가 이번에 지하2층 지상9층(깊이-9.65M / 높이45.15M)인 상가 건축 현장 안전관리자로 들어왔습니다. 문제는 제가 지금 사수도 없어서 뭘 해야할지 감이 안잡힙니다.유해 위험 방지 계획서는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공사식작은 8...



16-07-30 · 2,255 · 0
A : 위험성평가 인정에 대하 문의드립니다. 첨부파일

------------------------ [원 글] ------------------------안전하십니까위험성평가 인정이 시작된지 3년이 다되가는데요 적용을 한번 해볼까 하는데 애매모하한게 있어서요 1. 건설업종 1개 회사에 30개 현장이 있다면, 현장별로 각각 100인미만, 120억미만되면 신청가능한가요?2. 하도급공사도 신청이 가능한가요? 3. 보...



16-07-28 · 1,555 · 0
A : 단가 산업안전보건비

------------------------ [원 글] ------------------------안녕하십니까.무더위에 수고 많으십니다.한가지 문의점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년간 단가계약시 공사를 진행할경우 산업안전 보건비 계산법을 알고자 글을 올렸습니다.1년 공사 계약시 10으로 계약을 하였으나1년간단가공사량이 미비하여 4억 9천만에 1년계약이 끝났습니다....



16-07-27 · 1,596 · 0
▶ A : MSDS 관련 문의입니다.

------------------------ [원 글] ------------------------안녕하세요 문의좀 드릴려구요.피혁공장내배합시에 A,B,C 화학물질을 섞어서 D라는 화학물질이 나왔을경우에 D라는 화학물질에 대해서도 MSDS를 만들어서 제공해야되나요?? (D라는 물질은 제조하거나 유통과정이아니라 제품만들기전 배합할때 생성되는 물질이구요, 물건...



16-07-26 · 1,971 · 0
A : 신규채용자교육 질문 부탁드려요

------------------------ [원 글] ------------------------매번 질문에 성실히 답변해 주시는 운영자님 감사합니다~저는 건설업 안전관리자로 일하고 있는 신입안전관리자 이구요 현재 상황은 저희가 작업자들이 들어오면 건설업기초안전교육이수증을 받아서 사본을 철해놓고있고대부분의 작업들이 특별안전교육대상에 들어가서 신규채용자 교...



16-07-26 · 1,941 · 0
A : [보건] 의료폐기물 문의용 첨부파일

------------------------ [원 글] ------------------------혹시 몰라 여쭤봅니다.건강관리실에 의료폐기물(피가 묻은 솜, 알콜솜 등등) 이 나오게 되는데, 혹시 어떻게 처리해야하나요양이 많은건 아니고.. 병원, 보건소 등은 양이 많으면 업체에서 수거해 간다고 하는데..양이 많지 않아서.. 처리가 안될거같은데 혹시 어떻게...



16-07-25 · 1,572 · 0
A : 기초안전교육

------------------------ [원 글] ------------------------근로자들이 기초안전교육을 받았는데이수증에 보면 이수날짜가 2년이 지나면 다시 받아야 하나여?노동부에서는 그리 말하는데법에는 그러한 내용이 없어서여?------------------------ [원 글] ------------------------안녕하세요~운영...



16-07-22 · 1,652 · 0
A : 노동부 선임신고 기간 궁금합니다.

------------------------ [원 글] ------------------------14일이내 노동부에 안전관리자 선임신고 해야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상에는 2016.06.13~2018.07월 까지로 공사기간이 되어있습니다.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는 2주전 완료 되었구요 실제 공사는 08월 10일경 부터...



16-07-21 · 2,062 · 1
A : 무재해 인증시간 문의 드려요 첨부파일

------------------------ [원 글] ------------------------안녕하세요. 건설업에서 열씸히 일하고 있는 초보안전 입니다.무재해 인증 시간 산정하려고 하니 궁금한게 있어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저희 현장이 연차 공사 입니다.그러다 보니 무재해 1배 달성 시간이 91만 시간이 아니라 20만 시간이면 되겠더라구요.(50~100...



16-07-21 · 1,841 · 0
게시물 검색
사이트소개 공지사항 1:1문의 이용약관        모바일버전 접속 209
SINCE 2003 © iSAFETY.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