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
A : DFS자료와 환산재해율, 사망만인율에 대한 자료요청
페이지 정보
운영자 18-06-12 1,910회 3건x첨부파일
-
[별표 1] 건설업체 산업재해발생률 등.hwp (19.5K) 137회 다운로드
관련링크
본문
안녕하세요 관리자님
DFS, 환산재해율과.사망만인율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쉽게.설명부탁드려도.될까요, 자료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원 글] ------------------------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1. DFS(Design for Safety) : 설계단계에서 부터 설계자가 시공과정의 위험요소를 찾아내어 미리 제거 하는 안전설계를 말합니다.
* 건설현장 안전관리제도 소개 다운로드 하기 (26~60쪽에서 설명)
2. 제조업은 일반재해율을 사용합니다.
일반재해율 = 재해자수 / 상시근로자수 × 100
※ 재해자 : 사망자 + 업무상질병자 + 부상자를 말함
건설업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환산재해율을 사용합니다.
환산재해율 = [(사망자수 x 가중치) + 부상자수] x 100 / 상시근로자수
이제는 예전처럼 여러 건설사의 재해율을 공식적으로 한 번에는 알 수가 없습니다.
건설업체 환산재해율 조회는 다음의 한국산업안전공단 홈페이지 웹주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확인을 원하는 해당 업체는 한국산업안전공단의 승인 절차를 거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http://www.kosha.or.kr/participate/disasterInfo.do?menuId=55
첨부파일인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1도 참조바랍니다.
3. 사망만인율은 근로자 10,000명당 발생하는 사망자수의 비율 입니다.
사망만인율(‱)=(사망자수/근로자수)×10,000
다음 자료를 참조바랍니다.
* 2018년 3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 http://www.isafety.co.kr/etc/298
* 2017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 http://www.isafety.co.kr/etc/295
그럼 이만, 안전제일!
댓글목록
환경안전님의 댓글
환경안전사망만인율의 단위를 읽을때 퍼센트라고 읽나요, 아니면 다르게 읽나요?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참고바랍니다.
위키백과에 이렇게 나와있네요~ 저도 이참에 배웠습니다~^^)
만분율(萬分率)은 수를 10000과의 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베이시스 포인트라는 단위(드물게 퍼 밀리아드로 사용되며, 유니코드에는 퍼 텐 싸우전드)를 사용하며, 기호는 ‱(U+2031)이다. 금리를 나타낼 때 쓰인다.
다음처럼 읽는 것 같습니다.
% per cent(퍼 센트)
‰ per mille(퍼 밀)
‱ per milad(퍼 밀리아드) 또는 per ten thousand
환경안전님의 댓글
환경안전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