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수고많으십니다. > Q & A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Q & A

A : 수고많으십니다.

페이지 정보

운영자    06-01-19    1,235회    0건

본문

2006-01-18, "최규만"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저는 고속도로 현장에 안전관리자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 현재 자체안전점검 일지를 유지하고 있지만 공종별(협력사별)로 자체안전점검일지를 세분화 하여 운용하고자 합니다.
> 저희 현장에는 교량상부공 중 ILM(압출공법) 작업이 활발히 진행중인데 적절한 안전점검표를 작성하고자 합니다.
> 점검항목으로 어떠한것을 넣어야 할까요
> 일단 전기사용이 많아 전기부분은 대충 만들었는데 나머지 부분을 만들기가 어렵네요..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아래의 ILM(압출공법)에 의한 교량가설시 시공상의 대책과 안전관리를 참조바랍니다.


그럼 이만, 안전제일!


- 아 래 -

### 교량가설시 시공상의 대책과 안전관리 ###

1. 시공상의 대책

- 압출은 제작대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강도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주형에 균열이 발생하므로 압출을 개시해서는 안된다.
- 압출에 앞서 주형의 1차 프리스트레싱이 적절하게 행해졌는가를 확인한다.
- 소정의 기능을 가진 압출장치가 정비되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배치되었는가를
확인한다.
- 교량이 교통로 등의 상공을 횡단하는 경우 기상조건이나 열차의 운행상황을 조사하여
작업에 지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 도로의 바로 윗부분을 시공할 경우에는 도로관리자와 협의하여 압출이 안전하게 행해지는가를
확인한다.
- 압출노즈 및 주형 위나 그 주변으로낙하할 우려가 있는 것, 선로나 전선 등 압출시공에 지장을
가져올 우려가 있는 것이 있지 않나를 확인한다.
- 원활한 압출작업을 위하여 주형 내부, 압출노즈의 선단부 잭 및 주형제작장등에 필요한 전기
시설을 설치한다.
- 전력공급의 중단으로 교량 상부구조물을 제어하고 있는 압출장치의 기능중단을 초래해서는
안된다.
- 전력이 약한 경우도 압출장치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안정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 주형이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압출되는가를 항상 확인하면서 시공한다.
- 압출시 주형의 축선과 압출측선이 일치하도록 주형을 압출한다.
- 종단경사가 있는 경우와 종단경사가 없는 경우에도 압출시공중 항상 높이관리를 해야 한다.
- 주형을 압출할 경우 주형의 축선을 측량하여 어긋남이 작도록 수정하며 가야 한다.
- 곡선교의 경우 횡방향으로 편구배가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 압출시공시의 받침부 반력과 설계계산 반력이 일치하도록 받침 높이를 조정해야 한다.
- 동일 교각위의 받침에서는 계산 외의 반력차에 의해 주형에 큰 전단이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 조정해야 한다.
- 1 세그먼트 압출시공 완료마다 주형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해서 필요한 수정을 행해야 한다.

- 압출공법은 압출 준비시간을 포함하지 않는 압출중의 이동속도는 9cm/min ∼ 36cm/min 정도로
한다.

- 압출작업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한다.
. 전체 중량에 대응하여 압출장치의 용량이 충분한지의 여부
. 압출시 잭의 압출력 및 압출상태에 대한 기록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
. 가설받침 또는 겸용받침은 압출방향으로 정확하게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 압출노즈의 선단은 압출방향으로 정확하게 향하고 있는지의 확인 및 압출단계마다 처짐량을
항상 파악하고 있는지의 여부
. 가설받침, 겸용받침, 영구받침의 고정작업 및 압출시 미끄럼판의 교체, 가설받침의 조사를
위하여 교대 및 교각, 가교각 등에 교각부 작업대를 설치하였는지의 여부
. 압출장치, 자재 및 작업원의 추락방지 등 교각부 작업대에서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의 여부
. 압출장치, 가설받침, 겸용받침 및 기타 장치 등의 내력은 최악의 하중 상태에 대해서 충분히
안전한지의 여부
. 도로나 철도위를 압출시공할 경우 관련 관리자와 협의를 하고, 또한 압출시 지휘자, 교통통제원
등을 배치해서 안전시공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하였는지의 여부
. 압출교대에는 압출장치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며, 압출장치의 지지고정을 견고히 한다.
. 전도,활동 등에 대해서 안전하게끔 압출교대의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며, 침하방지를
위해 지지력의 안정성 검토를 한다.
. 압출장치의 중심위치는 압출교대 설치부에서 상하좌우로 벗어남이 없도록 정확하게 하고,
압출교대에는 압출장치의 설치부에 유해한 균열이나 국부적인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끔 철저히
보강을 한다.
. 종방향 허용 처짐량이 10mm를 초과하는 비교적 유연성이 있는 교각의 경우, 수평 처짐량을
각각의 교각에서 독립적으로 기록한다.
. 고장력 강선은 온도에 의해서만 응력이 변화되어 강선에 늘어짐이 생길 정도로 팽팽하게
프리스트레싱시켜 놓아 종방향 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고장력 강선에 표시하여 둔 표식에 의하여 교각 처짐량이 허용치를 초과할 경우 교각에
설치된 비상 정지 스위치를 이용하여 압출을 중단시켜야 한다.
. 교각의 처짐량을 줄이기 위하여 미끄럼판에 양질의 그리스를 도포하여 마찰계수를 감소시킨다.
. 플랫잭(flat jack) 설치를 위하여 코핑(coping)부에 설치공간을 확보하며, 설치부위는
철근으로 보강한다.
. 플랫잭은 주형의 복부 중심선 아래에 설치하여 주형을 들어올려야 하며, 다이아프램 설치 이전의
하부플랜지 단면이 작은 부위에 플랫잭을 설치해서는 안된다.


2. 시공상의 안전관리

- 도로 및 철도상으로의 낙하물 방지를 위해 측면방호공을 설치하였는지의 여부
- 지상 4m 이상의 작업에서 내려다 본각이 75°이상인 곳에 일반도로 혹은 철도가 있는 경우
츨면방호공을 설치하였는지의 여부
- 전선에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 전선을 이설하거나 절연피복을 하였는지의 여부
- 위험구역으로의 출입금지 조치를 행하였는지의 여부
- 압출시공중 주형의 전도와 압출노즈의 강도 등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한다.



Q & A

게시물 검색
닫기
하단 검색창 입력에 따른 출력 예
* 신입.(콤마) 입력 → 신입만 출력
* 경력.(콤마) 입력 → 경력만 출력
* 건설 선택, 경력.(콤마) 입력 → 건설&경력 출력
* 제조 선택, 충북 입력 → 제조&충북 출력
사이트소개   공지사항   1:1문의   이용약관
PC버전
SINCE 2003 © i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