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하단 검색창 입력에 따른 출력 예
* 신입.(콤마) 입력 → 신입만 출력
* 경력.(콤마) 입력 → 경력만 출력
* 건설 선택, 경력.(콤마) 입력 → 건설&경력 출력
* 제조 선택, 충북 입력 → 제조&충북 출력
사이트 내 전체검색
 


처음으로 안전뉴스 구인정보 Q & A 자료실
 


Q & A

A : 안전관리자 선임 수에 관한 질의

페이지 정보

김영근 작성일04-02-02 2,070 0

본문

02-01, "6짜감시" 님이 쓰신 글입니다.
> 02-01, "김영근" 님이 쓰신 글입니다.
> > 02-01, "6짜감시" 님이 쓰신 글입니다.
> > > 안녕하세요.
> > >
> > > 건설현장 안전관리자 선임시에 소속사와 대상인원에 대해 예시를 들어 문의하고자 합니다.
> > > 총공사금액 1000억현장의 원도급사 밑에 협력사가 4개사가 있는데
> > > ㄱ사가 50억 ㄴ사가 100억 ㄷ사가 150억 ㄹ사가 200억의 공사금액을 하도급받았을경우 안전관리자 시
> > >
> > > 1.답안 총공사금액이 1000억 이기에 원도급사던지 하도급사던지 소속은 관계없이 단위 현장명으로 2명만 선임(노동부에)하면 됨
> > > 2.답안 공사금액을 풀어 해쳐보니 원도급사 550억 기타 하도급사가 450억이니깐 원도급사 1명 ㄷ사 1명 ㄹ사 1명 합해서 3명을 선임해야 함
> > > 3.답안 공사금액을 풀어보니 위의 내용과 같고 선임인원도 3명인데 원래 2명만 선임해도 되니깐 알아서 원도급사 1명 필수 4개의 하도급사중 한군데서 1명 해서 도합 2명 선임해야 함.
> > >
> > > 위중에 답안이 있는지요? 아님 자세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 > 수고하십시요 ^^
> > > 안전제일
> >
> >
> > 안녕하세요.
> > 김영근 입니다.
> >
> > 1. 우선 건설업에서의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 공사금액 120억원 이상(토목공사업에 속하는 공사는 150억원) 또는 상시근로자 300인
> > 이상 600인 미만 사업장 : 1명
> > - 공사금액 800억원 이상 또는 상시근로자 600인 이상 사업장 : 2명
> > (공사금액 800억원을 기준으로 매 700억원 또는 상시근로자 600인을 기준으로 매
> > 300인이 추가될 때 1인씩 추가됨)
> >
> >
> > 2. 선임방법은 원도급인과 수급인이 각각 선임하는 방법과 원도급인이 수급인의 안전관리자까지
> > 모두 다 선임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
> > 말씀하신대로 총공사금액 1000억원인 현장의 원도급사 밑에 협력사가 4개사가 있는데
> > ㄱ사가 50억 ㄴ사가 100억 ㄷ사가 150억 ㄹ사가 200억의 공사금액을 하도급 받았다고 했으므로
> >
> > 1) 원도급인과 수급인이 각각 선임히는 방법
> >
> > - 원도급인이 선임하여야 할 안전관리자 수 : 원도급인의 공사금액 500억원 + 수급인 ㄱ사의
> > 공사금액 50억원 + 수급인 ㄴ사의 공사금액 100억원 = 650억 → 1명
> >
> > - 수급인 ㄷ사, ㄹ사가 선임하여야 할 안전관리자 수
> > 각 1명씩 → 2명
> >
> > 따라서, 3명을 선임하여야 합니다.
> >
> >
> > 2) 원도급인이 수급인의 안전관리자까지 모두 다 선임하는 방법(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 > 제12조 ⑤항 : 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동일장소에서 행하여지는 도급사업에
> > 있어서 도급인인 사업주가 노동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당해 사업의 수급인인 사업주의
> > 근로자에 대한 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에는 당해 사업의 수급인인 사업주는 안전
> > 관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할 수 있다.)
> >
> > - 원도급인이 선임하여야 할 안전관리자 수 : 원도급인의 공사금액 500억원 + 수급인 ㄱ사의
> > 공사금액 50억원 + 수급인 ㄴ사의 공사금액 100억원 = 650억 → 1명
> >
> > - 수급인 ㄷ사, ㄹ사가 선임하여야 할 안전관리자 수
> > 수급인 ㄷ사 150억 + ㄹ사 200억 = 공사금액 합계 350억원 → 1명
> >
> > 따라서, 2명을 선임하여야 합니다.
> >
> >
> > 3. 안전자료 > 기타자료에 있는 27번 자료인 '원.하수급관계에서의 안전관리자 선임방법 예시'를
> > 참조바랍니다.
> >
> > 건설업에서의 안전관리자 선임기준, 선임방법 등을 자세히 설명하여 놓았습니다.
> >
> >
> > 그럼 이만, 안전제일!
>
>
>
> 먼저 자세한 답변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그런데 건설현장에서 안전관리자 선임시 아주특별한 경우가 있지 않고서는 원수급인(원청사)이 대상액에 대한 인원의 안전관리자를 선임하게 됩니다. 아주 특별한 경우란 안전관리비의 인건비를 단시간에 사용하고자 해서 안전관리자 인원을 늘리는 경우 등등 이라 생각 할수가 있죠..
> 다만 법 규정을 말씀하셨듯이
>
>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 제12조 ⑤항 : 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동일장소에서 행하여지는 도급사업에
> 있어서 도급인인 사업주가 노동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당해 사업의 수급인인 사업주의
> 근로자에 대한 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에는 당해 사업의 수급인인 사업주는 안전
> 관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안전관리자의 소속이 원수급인(원청사)이던지 수급인(협력사)이던지 관계없이 대상인원수만 맞으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
> - 원도급인이 선임하여야 할 안전관리자 수 : 원도급인의 공사금액 500억원 + 수급인 ㄱ사의
> 공사금액 50억원 + 수급인 ㄴ사의 공사금액 100억원 = 650억 → 1명
>
> - 수급인 ㄷ사, ㄹ사가 선임하여야 할 안전관리자 수
> 수급인 ㄷ사 150억 + ㄹ사 200억 = 공사금액 합계 350억원 → 1명
>
> 따라서, 2명을 선임하여야 합니다.
>
> 라고 답변을 주셨는데 수급인 ㄷ사,ㄹ사가 선임을 할시에 1명을 선임하는 것은 말씀하신 법에 위배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왜냐 하면 수급인과 수급인끼리는 안전관리자의 선임을 아니할수 있다라는 규정에 적용을 못받기 때문이죠..
>
>
> 이모든 사항을 종합해볼때 안전관리자의 소속사가 중요한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노동부에서도 대상액에 따른 인원의 선임유무를 점검하기에 수급인의 공사금액은 따져서 선임대상인원을 산출하는 것을 잘못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 또한 수급인에 대해서 공사금액에 따른 안전관리자 선임건을 적용하면 선임대상공사금액 이하일경우는 기술지도을 받아야 되지 않을까요?
> 물론 원수급인(원청)의 안전관리자 지원하에 있다면 아니지만요..
>
> 논쟁의 요지가 남아 있어서 다시 한번 질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근 입니다.

1. 제가 말씀드린대로 안전자료 > 기타자료에 있는 27번 자료인 '원.하수급관계에서의
안전관리자 선임방법 예시'(이 자료는 노동부에서 제시한 자료입니다.)를 자세히
읽어보셨습니까.

안전관리자 선임방법에는 원도급인과 수급인이 안전관리자를 각각 선임하는 방법과
원도급인이 수급인의 안전관리자까지 모두 다 선임하는 방법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 원도급인이 선임하여야 할 안전관리자 수 : 원도급인의 공사금액 500억원 + 수급인 ㄱ사의
공사금액 50억원 + 수급인 ㄴ사의 공사금액 100억원 = 650억 → 1명

- 수급인 ㄷ사, ㄹ사가 선임하여야 할 안전관리자 수
수급인 ㄷ사 150억 + ㄹ사 200억 = 공사금액 합계 350억원 → 1명

위의 내용은 원도급인이 수급인의 안전관리자까지 모두 다 선임할 경우를 설명한 것이고
수급인인 ㄷ사 + ㄹ사가 공사금액 합계가 350억이므로 원도급인이 수급인을 대신하여 1명을
선임하고 원도급 자체적으로 선임하여야 할 안전관리자1명(수급인 ㄱ사, ㄴ사의 공사금액
포함인 650억), 즉 합계 2명의 안전관리자를 원도급인이 선임하면 된다는 것 입니다.


2. 안전관리자의 소속이 원수급인, 수급인에 관계없이 대상인원수만 맞으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2항에 의거 공사금액이 120억원 이상일 경우 수급인(협력사)도
안전관리자를 자체적으로 선임하여야 하는 것이고 단지 제5항에 의거 원도급인이 수급인의
안전관리자까지 모두 다 선임할 경우에는 수급인이 선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예외규정을
둔 것 뿐입니다.

원도급인이 수급인의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는 현장도 많이 보아 왔습니다.
원도급인이 수급인의 안전관리자를 선임할 수도 있고 선임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 입니다.

점검시 노동부나 점검기관에서 공사금액에 따른 안전관리자의 선임수를 보고 원도급인이
다 선임보고 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시에는 수급인의 안전관리자 선임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3. 일반적으로 기술지도는 원수급인 받습니다.
물론 필요하다면 전체 공사중 당해 하도급 공사에 대해서만 별도로 계약을 체결하여 실시할
수 있습니다.

* 노동부 관련회시 중에서 :
하도급 공정의 위험도가 높아 재해예방을 위한 기술지도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라면 당해
공정에 대해 별도의 기술지도 실시도 가능할 것이나, 그 실시 여부는 발주자 및 원도급업체
등과 기술지도의 실익 여부 등을 따져본 후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되며, 이렇게
실시하는 기술지도는 전체 공사중 당해 하도급 공사에 대해서만 별도로 계약을 체결하여
실시하면 될 것임. 아울러, 이때 소요되는 기술지도 수수료에 대해서는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됨(산안(건안) 68307-10276, 2002.6.12)



그럼 이만, 안전제일!
 



Q & A

전체 15,588건 507 페이지
Q & A 목록
A : 산재건입니다 ~~급요 ㅠㅠ

문제가 있네요.. 작업에 맞는 보호구(안전화)를 지급하질 못했네요. 만일 그 사람이 이점을 악용한다면 쪼끔 골치 아파 집니다. 그리고 회사에서 산재합의 안해준다고 산재가 안되는게 아니랍니다. 산재는 근로자 무과실 원칙이라 근로복지공단에서 인정시 회사의 뜻에 관계없이 산재처리 되니까요. 보아하니 산재처리 경험이 있는 경험자 같습니다. 아님 병원 몇일 다니면서...



06-08-22 · 1,074 · 0
A : 산재건입니다 ~~급요 ㅠㅠ

마음 고생이 심하시겠네요.. 일단 여기서 안전화 얘기는 접어두시죠.. 안전화가 크건 작건 또는 안전화를 지급했던 안했던 상관없습니다. 이런 문제는 형사/민사상에서 따질 문제이지요. 산재 판단에서 중요한 것은 해당 현장에서 작업지시를 받고 일 했느냐, 안했느냐의 문제가 중요합니다. 사업주는 무과실책임주의에 따라 다소 억울하다고 생각되더라도(근로자 100%...



06-08-22 · 1,094 · 0
A : 분전반의 올바른 연결법좀 알려주세요

인입선이 3상4선식 380V이라 치고.. 현재 인입선과 함께 접지선이 들어와야 되는데 안보이네요. 분전함 외함도 접지를 해줘야 합니다. 또 3구 접지식 콘센트 역시 접지를 해야합니다. 용접기는 NFB를 통해 물리시면 됩니다.(사진처럼) 하지만 현재(사진상) 분전함 외함 접지 유무가 확인되질 않고 220V으로 딴 콘센트 역시 접지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



06-08-21 · 1,305 · 0
A : 분전반의 올바른 연결법좀 알려주세요

저도 신참이라 궁금한게 있는데요. 누전차단기를 배선용차단기 인출부에서 연결해야 하지 않을까요? 사진에는 인입부에서 딴거 같아요. 차단기 회로명도 기재해서 오조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단 생각이 드는데 맞을런지요 ^^* 2006-08-21, "아따" 님이 쓰신 글입니다. > 배선용 차단기 하부의 4선이 아크 용접기 선입니다. > 올바르게 ...



06-08-21 · 1,043 · 0
A : 분전반의 올바른 연결법좀 알려주세요

원칙적으로는 이중 삼중으로 안전조치를 취하는게 맞겠죠. 하지만 그넘의 일이 뭔지.. 만일 인출부에서만 따게 되면 메인 NFB에 과부하게 걸리게 되겠죠. 그럼 NFB가 떨어지므로 여럿사람 작업 못하게 됩니다. 또 220V만 쓰게 될 경우도 메인까지 다 올려야 사용이 가능하게 되겠죠? 그래서 인입에서 바로 옆으로 따고 따고 해서 쓴답니다. 특히 부하가 많이 걸...



06-08-21 · 912 · 0
A : 분전반의 올바른 연결법좀 알려주세요

선배님 감사합니다...... ^^* 2006-08-21, "백수"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원칙적으로는 이중 삼중으로 안전조치를 취하는게 맞겠죠. > 하지만 그넘의 일이 뭔지.. > 만일 인출부에서만 따게 되면 메인 NFB에 과부하게 걸리게 되겠죠. > 그럼 NFB가 떨어지므로 여럿사람 작업 못하게 됩니다. > 또 220V만 쓰게 될 경우도 메인까지 다...



06-08-21 · 1,076 · 0
A : 강관동바리에서 시스템동바리로 시공변경건

2006-08-21, "산나리"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안녕하세요..! > 날씨도 더운데 고생들 하십니다.. > 저희 현장은 설계내역상 강관동바리로 잡혀있는데 층고가 높아서 (7.8m) > 시스템동바리로 설계변경을 하려고 합니다. > 근데 감독측에서 가설재 사용기준에 강관동바리(v6,5)는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되어있고 동바리 2개를 이어 사용할수 있는 규...



06-08-21 · 1,578 · 0
A : 긴급입니다. 분전반인데 뭐가 잘못됐는지좀 봐주세요(사진있어요)

가운데 회색물체는 NFB(배선용차단기)이구요... 맨 우측 검은것만 ELB(누전차단기)입니다. 그리고 그림상으로는 접지시설이 안보입니다.밖에도 없다면 설치가 안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아크릴판으로 충전부를 커버해주어야 하고 회로도도 부착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2006-08-21, "아따" 님이 쓰신 글입니다. > 발전기에서 직접따온 선이고 접지...



06-08-21 · 935 · 0
A : 재질문 들어갑니다.

NFB는 안전관리비 사용 불가능 한것입니까? 그리고 그림상으로 볼때 누전차단기가 작동되는 부분은 맨 왼쪽의 콘센트를 사용할때만 가능한것 입니까? 배선용 차단기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선은 접지되어 있지 않은것이 맞습니까?



06-08-21 · 1,044 · 0
A : 재질문 들어갑니다.

NFB는 근로자 보호 목적보다는 전기작업을 위한 부품으로 봐야하지 않을까요? 공무비용으로.. 맨 오른쪽 말씀하시는거 아닌가요?(사진상) 3구 접지식 콘센트 입니다. 거기에 꽂아 쓰는 전열기구중 누전되었을 때 차단기가 떨어집니다. 그런데 사진상 접지선이 안보이네요. NFB에서 인출된 선이 접지되는 것이 아니라 인출된 선에 물려있는 전기기구의 외함에 접지선을 ...



06-08-21 · 1,042 · 0
A : 무재해 인증에 관한 질문입니다.

앞으로는 개인지병인 경우 건설업체 환산재해율 재해자수 산정대상에서 제외를 할 예정이지만 일단 산재처리가 된다면 무재해 시간산정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할 것입니다. 무재해 개시 보고를 다시금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요양신청서가 근로복지공단에 접수되면 안전공단에서 알 수가 있으므로 개시보고를 다시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2006-08-21, "안...



06-08-21 · 1,063 · 0
A : 무재해 인증에 관한 질문입니다.

개인 지병(고혈압으로 인한 뇌출혈 등)은 무재해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산재건수로는 1건이 잡히고 재해율에 영향을 미치지만 무사고 재해는 무재해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계속 누적하여 기록하시면 됩니다.. 2006-08-21, "안전맨"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앞으로는 개인지병인 경우 건설업체 환산재해율 재해자수 산정대상에서 제외를 할 예정...



06-08-21 · 1,221 · 0
A : 안전관리비 사용항목여부

2006-08-21, "원래이런놈"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이제 제법 바람이 쌀쌀하네요.. > > 다 한줄 알았는데...다시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 너무 초보같은 질문에 답답해 하시겠지만....글도 성실한 답변 부탁드립니다...(_ _) > > * 먼저 조끼도 항목에 포함되나요? > 근로자(하청)와 관리자(원청)의 식별용조끼만 가능한걸로 아...



06-08-21 · 1,420 · 0
A : 틀비계 높이대비 폭은 얼마나 되나요?

이동식비계의 높이 < 이동식비계의 밑변에서 짧은거리X4배를 만족하면 되구요... 바닥면적은 기성품의 넓이 그대로 하시면 됩니다. 2006-08-18, "안전초보"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안녕하세요. > 작업을 하고자 하는 높이가 4.2미터 입니다 > 틀비계를 작업발판까지 2.5높이로 하고 난간대를 3.5미터 까지 제작하고자 하는데 넓이를 얼마로 해야 하...



06-08-19 · 1,545 · 0
A : 산재지정병원

대부분의 정형외과 정도면 거의다 됩니다. 그리고 산재처리는 해당병원 원무과를 찾아가 얘기하면 다 알아서 처리를 해줍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2006-08-17, "초짜"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안녕하세요. 처음 안전관리를 맡고 현장에 왔습니다. > 산재병원을 선정하라고 지시받아서요. 병원은 인근에 > 아무 병원이나 지정하면 되나요? 아님 종합병...



06-08-17 · 1,091 · 0
게시물 검색
사이트소개 공지사항 1:1문의 이용약관        모바일버전 접속 250
SINCE 2003 © iSAFETY.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