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하단 검색창 입력에 따른 출력 예
* 신입.(콤마) 입력 → 신입만 출력
* 경력.(콤마) 입력 → 경력만 출력
* 건설 선택, 경력.(콤마) 입력 → 건설&경력 출력
* 제조 선택, 충북 입력 → 제조&충북 출력
사이트 내 전체검색
 


처음으로 안전뉴스 구인정보 Q & A 자료실
 


Q & A

당연히 투입하세요

페이지 정보

딴지안전 작성일04-06-09 1,416 0

본문

협력업체에 안전관리비를 얼마만큼 책정하라는것은 없습니다.

협력업체에 안전관리비가 없어도 법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협력업체에 안전관리비가 없거나 모두 사용하였을때는

당연히 원도급사에서 각종 시설, 보호구, 신호수 등을 투입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협력업체 안전관리비를 모두 사용하였다고 해서 보호구를

지급하지 않았다고 했을때 미착용으로 인해 사고가 나면 어떻게 될까요?

안전관리비는 원청을 위해 있는것이 아니라 현장 전직원, 전 근로자들의

안전을 위해 있는 것입니다.

06-09, "초보안전"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안녕하십니까
> 공사금액이 1,600억정도 되는 토목현장의 원청 안전관리자 입니다.
> 먼저 저의 현장 소개를 간단히 하겠습니다.
> 크게 두곳의 협력업체가 있습니다.(대외적으로)
> 그리고 나머지 돈되는 것은 원청에서 직영공사를 하고 있습니다.(대외적으로)
> 안전관리자3명
> 총안전관리비 : 약14억
> 협력업체A : 공사금액200억 - 안전관리비:1억5천
> 협력업체b : 공사금액200억 - 안전관리비:1억5천
> 안전관리자3인(원청에서선임)
> 협력업체에 증빙서류받아서 안전관리비취합아여 집행
> 대략 이정도 인데요.
>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일을 하다보면 저의 원청에서 하는일보다
> 협력업체 에서 할일이 많은데(보호구,시설물,건강진단등)
> 안전관리비는 원청에서 많이 쥐고 있다보니, 아직할인은 많은데
> 협력업체 들은 안전관리비를 거의다 써버렸거든요.
> 물론 전체 안전관리비는 공정율에 맞추어 사용하고 있구요
> 질문
> 1. 하도업체 안전관리비계상기준
> 2. 이런경우에 원청에서 대신집행가능한지 여부
>
> 제생각에서 원청에서는 안전관리비 쓸일이 별로 없으니까
> 원청에서 시설물도 일부대신 설치해주고 보호구도 필요한
> 일정부분은 좀 사주면서 안전관리비를 실질적인 근로자 안전에
> 쓰고 싶은데--- 제생각에는 충분히 가능할것 같은데
> 고참 안전관리자가 절대안된다고 고집하네요
> "본사에서 감사나오면 어쩌니, 뭐 가지가지 이유를 들면서요.
>
> "제32조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 ①법 제30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수급인 또는 자체사업을 행하는 자가 사업의 일부를 타인에게 도급하고자 하는 때에는 법 제3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도급금액 또는 사업비에 계상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범위안 에서 그의 수급인에게 당해사업의 위험도를 고려하여 적정하게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를 지급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
> 이항목을 보면 제 생각이 가능할것도 같은데...
> 법적인 근거나 좋은 방법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 협력업체도 해줄건 좀 해주면서 시켜야 되는데
> 해주는것 없이 무조건 하라고만하니 서로가 힘드네요.
> 현채로 근무하다보니 힘드네요^^
>
> 질문이 너무 길어서 요점정리가 될지 모르겠네요.
> 항상 좋은 답변주시는거 매일 보고 있습니다.
> 그럼 항상 건강하세요...
 



Q & A

전체 15,588건 497 페이지
Q & A 목록
A : 노사합동안전점검에 대해서...

산업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30조2 의거 2개월에 1회 실시 해야함 법적인 사항이므로 당연히 강제성 가짐 점검표는 각 회사마다 다르고 자료을 다운 받고 싶으면 안전사이트에서 검색하면 있음 2006-10-30, "SAFETY" 님이 쓰신 글입니다. > 노사합동안전점검은 2개월에 1번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 > 이것이 협의체회의처럼 법적으로 강제성을...



06-10-30 · 1,256 · 0
A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2006-10-30, "안전관리자"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지난 4월 건설업의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과 관련하여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사업주간협의체회의로 대체 시행이 가능하다고 입법예고 되었고 > 시행 공포는 아직까지 되지않았다고 노동부직원과 통화했습니다. > 헌데 귀사 홈페이지 안전자료란에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을 찾아보니 9월 22일자로 개정이 되어있었습니...



06-10-30 · 1,185 · 0
A : 민간공사중 재건축사업으로 지분참여공사일경우

2006-10-27, "안짱"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저의 현장은 민간 재건축 지분참여 아파트 공사현장입니다. > 건설교통부 질의회신에 보면 당사:건설공사를 하는 입장의 건설업체지만 > 동시에 발주자의 위치입니다.. > 모든 안전조직 및 안전관리자 선임은 당사로 되어있고요 > 1. 당사와 계약한 협력업체는 유권해석상 원도급으로 되는데요. > 산재발생시 ...



06-10-28 · 1,178 · 0
A : 상하부 동시작업시 위험사항??

철골작업자의 상하부 이동시 수직구명줄을 설치한 후 추락방지대(코브라 등)를 설치하고 코브라 죔줄에 있는 훅을 안전대에 걸고 이동하면 됩니다. 코브라 사진은 안전자료에 있는 사진자료의 181번에 있습니다. 가까운 안전공단지사에 가셔서 '안전대의 올바른 착용방법'의 소책자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림과 같이 내용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2006...



06-10-26 · 1,232 · 0
A : 산재 처리건

본래 의료보험 처리는 불법인 건 아실 겁니다. 물론 공상도 일종의 불법이지만.. 의료보험으로 처리하려면 처음 갔을 때 결정해야 하고 늦으면 안 되는 걸로 알고 있읍니다. 그러나 원무과장에게 문의하여 된다고 하면 바로 처리하십시오. 의료보험에서도 무작위나 의심이 가는 건 자체 조사를 하니 병원에서 왠만하면 의료보험으로 처리를 안 하려고 하는데 그 정도의...



06-10-26 · 1,135 · 0
A : 질문입니다...

경고하고 한다는 소리가 없지 않읍니까? 노동부 감독관은 사법권이 있어 바로 벌금을 때립니다. 현장에서 안전관리자가 벌금을 때리는 규정은 없지만 경고 3회씨 벌금을 때리고 현장 퇴출이라고 엄포를 놓는 겁니다.



06-10-26 · 1,166 · 0
A : 안전관리계획서가 건기법에 나와있나요?

2006-10-26, "그대" 님이 쓰신 글입니다. > 그게 알고싶어요..어디에 나와있는지.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46조의2(안전관리계획의 수립)를 참조바랍니다. 또한, 안전자료 > 계획서자료에 있는 2번 자료인 건설공사 안전관리계획서 작성지침도 참조바랍니다. 그럼 이만, 안전제일!



06-10-26 · 1,207 · 0
A : 터파기사면보호천막안전관리비사용여부

2006-10-25, "아싸"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옹벽터파기를 했는데 뒷부분이 가파르고해서 보호천막을 쒸웠어요 > 근데 하부에 근로자들이 철근공, 목공들이 작업을해서 우천시나 혹시나 붕괴의 위험이 있어 설치했는데 이것도 시공비에 포함되어있나 봐야 하나요? 아니면 근로자 보호용으로 안전관리비 사용가능한가요? 경사법면보호망(덮개)는 안전시설비 항목으...



06-10-26 · 1,963 · 0
A : 안전순찰차량용 갈매기표지 및 싸이렌

2006-10-25, "도로안전" 님이 쓰신 글입니다. > 도로확포장공사 안전관리자입닏. > > 안전관리비 사용기준에 보면 4번 진단비에서안전관리자용 안전순찰차량의 유류비, 수리비, 소모품교환비, 보험료등은 안전관리비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나와있는데 제목과 같이 차선유도용 갈매기표지나 싸이렌을 포터에 달고싶은데 안전관리비로 사용이 가능한가요? ...



06-10-25 · 1,297 · 0
A : 2차 건강검진비

2006-10-24, "겅간이"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정기건강검진을 실시후 2차검진 대상자의 2차검진비는 안전관리비 정산이 가능한것인지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00조(검사항목 및 실시방법) ④항 : 일반건강진단의 제1차 검사결과 질병의 확진이 곤란한 경우에는 제2차 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며, 제...



06-10-24 · 1,476 · 0
아무 염려 안 하셔도 됩니다

소방서에서 노동부로 보고된다는 건 거짓말이고 유언비어입니다. 1년이나 6개월마다 전체적으로 보고하는 일은 간혹 있지만 일일이 보고하는 일은 없다고 합니다. 만일 노동부에 보고 안 하는 조건으로 금품을 요하면 소방서 각 광역시나 도 관할 감사부로 바로 고발하십시오. 그럴 경우도 거의 없겠지만 말입니다. 간혹 병원에서 로비를 하여 지정 병원이 아닌 자기들에게...



06-10-24 · 945 · 0
A : 아무 염려 안 하셔도 됩니다

2006-10-24, "늙은 안전"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소방서에서 노동부로 보고된다는 건 거짓말이고 유언비어입니다. > 1년이나 6개월마다 전체적으로 보고하는 일은 간혹 있지만 일일이 보고하는 일은 없다고 합니다. > 만일 노동부에 보고 안 하는 조건으로 금품을 요하면 소방서 각 광역시나 도 관할 감사부로 바로 고발하십시오. 그럴 경우도 거의 없겠지...



06-10-24 · 1,072 · 0
게시물 검색
사이트소개 공지사항 1:1문의 이용약관        모바일버전 접속 257
SINCE 2003 © iSAFETY.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