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하단 검색창 입력에 따른 출력 예
* 신입.(콤마) 입력 → 신입만 출력
* 경력.(콤마) 입력 → 경력만 출력
* 건설 선택, 경력.(콤마) 입력 → 건설&경력 출력
* 제조 선택, 충북 입력 → 제조&충북 출력
사이트 내 전체검색
 


처음으로 안전뉴스 구인정보 Q & A 자료실
 


Q & A

A : 건설업 기초안전교육 및 장비보험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운영자 작성일16-03-12 2,509 0

본문

------------------------- [원 글] -------------------------

법적으로 일용직 근로자들은 건설현장의 경우에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하고 현장에 오게되어 있는데요..

일용직 근로자(즉, 용역회사 및 하루 일하는 근로자)입니다.

일반 용역회사에서 오게되는 근로자 및 직영근로자도 교육을 이수하지 않으면 퇴출을 시키고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직영근로자 월급을 받는 사람은 굳이 교육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모두 받게하며, 특히나 용역회사에서 오시는 분들은 필수로 확인합니다.

 

그런데 장비기사의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 대부분 받지 않은분들이며 지금 현장에서야 고민을 하네요.

저번 현장의 경우에 장비의 차주거나 대부분 사업자들이 와서 작업을 하게되죠...

장비기사들의 경우는 기초안전보건교육에 해당되는 것인지요??

 

그리고 무한궤도식 백호우02같은 경우에 의무적인 보험가입 대상이 아니라 들지않은 장비들이 있습니다.

가입을 하려고해도 보험회사에서 거부를 합니다. 현재 투입된 장비들중 딱 한대가 보험이 되어있지 않아

작업계획서가 들어오지 않고 있는 시점입니다. 투입시킨 장비가 크레인이 오지않으면 빼지를 못하는 상황이라 당장 조치를 취하기 힘들어서 작업을 정지를 시킨 상태이구요,

 

무한궤도식은 초기에 보험에 가입하여 여태 보험료를 계속 납부한 장비들만 보험에 적용되어 있다고 하네요. 아는분께 부탁해서 가입하려 하니까 해당 기사의 보험처리 건이 발견되어 보험회사 측에서 거부한다며

어쩔 수 없다고 하더군요..이 경우 퇴출을 해야할지 정말 난감하네요. 점검이 나오게되면 걸리는거 아닌가요?? 작업계획서만이라도 받아 둬야할지 모르겠네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 [원 글] -------------------------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1.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대상은 건설 일용근로자입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제23조에 '일용근로자는 1일 단위로 고용되거나 근로일에 따라 일당(미리 정하여진 1일 동안의 근로시간에 대하여 근로하는 대가로 지급되는 임금) 형식의 임금을 지급받는 근로자(다만, 3개월 이상 계속 근무하거나 근로형태가 상용근로자와 비슷한 경우는 제외)'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즉, 건설 일용근로자가 아닌 '장비사업주 또는 상용근로자'에 대하여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토록 할 의무가 사업주에게 없습니다. 

 

또한, 안전보건공단의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관련 질의회시에서는 '장비조종사 가운데 사업주에게 상용직으로 고용된 근로자나 개인사업주는 교육 이수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다만, 상용근로자의 여부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판단하시되 3개월 이상의 근무가 연속(계속)적인지 단속적인지, 근로형태는 상용근로자와 유사한지 등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위의 내용에 비추어 볼 때 장비사업주인 동시에 운전원을 사용하는 다른 사업주에게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토록 할 의무가 없습니다. 

 

그리고 '장비조종사 가운데 개인사업주는 교육 이수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제외한다'가 아닌 '제외할 수 있다'이기에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받아도 되고 안 받아도 된다는 뜻이 됩니다. 

 

따라서, 위의 내용을 보시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요즈음은 장비기사들도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2. 산업안전보건법 상 건설중장비의 보험가입에 대해서 별도로 규정한 것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내부적인 점검 시에는 보험가입에 대해서 관여를 하지만 대외기관 점검 시에는 보험가입 여부를 거의 확인하지 않습니다.(물론, 발주처 및 감리단 등의 내부지침에 보험가입 여부 확인이 있다면 관여를 하겠지요~)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건설중장비는 사고의 위험성이 높음에 따라 일반보험회사에서 영업배상책임보험이나 사용자배상책임보험가입을 기피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비보험에 가입되었다 하더라도 대인배상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대인 및 대물 보상이 가능한지 약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보험가입이 안 된다면 말씀하신대로 작업계획서와 다음의 서류를 비치하시기 바랍니다. 가능하다면 보험회사의 가입거부에 대한 서류 등을 확보하십시오~

 

- 건설중장비검사증(검사필), 등록증 유무 확인 

- 운전자면허 또는 자격증 

- 장비일일점검표 및 장비작업일보

- 중장비에 대한 제원표

 

 

그럼 이만, 안전제일! 




Q & A

전체 15,588건 65 페이지
Q & A 목록
A : 현장대리인 변경 양식을 구하고 싶어요.

------------------------- [원 글] -------------------------현장대리인이 변경되어 양식을 구해야 하는데노동부에 신고는 안한다고 하더라구요...양식을 준비하여 철 해두라고 해서요!!양식이 있으면 부탁좀 드립니다.ㅠㅠ그리고 20억 이상의 하청업체가 있는데 하도업체 소장을 안전보건책임자로 선임하는 양식도 있을까요?현장대리...



16-03-10 · 1,862 · 0
A : 안전작업허가서

작업허가서는 산안법에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내부 지침 또는 관례에 의해 작성을 합니다.내부적으로 현장내 직원을 정.부로 지정하여 수행하시면 됩니다.------------------------- [원 글] -------------------------흔히 건설현장에서 작성하는 안전작업허가서는 누가 작성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해당 작성자가 부재일 경우2차적으...



16-03-09 · 1,982 · 0
A : 물질안전보건교육에 관해

------------------------- [원 글] -------------------------안녕하세요 ?오늘 날씨가 더 추워졌습니다 . 감기조심하세요 ~ 궁금한 사항이 있어 여쭈어 봅니다 . 건설업에 종사하고 있는 보건관리자 입니다. 물질안전보건교육을 해야하는 해당 근로자 분들은 어떤 작업자 분들인지 알고 싶습니다.-----------------...



16-03-09 · 2,269 · 0
A : 근로자관리대장

건설근로자퇴직공제제도 업무처리 요령에적용대상 근로자의 범위가 나와 있습니다.일반적으로 퇴직공제에 가입된 건설공사 사업장에 근무하는 일용직 근로자 또는 근로계약기간이 1년미만인 임시직 근로자가 적용대상 근로자입니다.○ 적용대상 : 일용직근로자, 임시직(1년미만), 용역근로자, 장비운전원(임시, 일용), 일용직외국인(1년미만 근로계약인 경우)○ 비적용대상 : ...



16-03-08 · 1,840 · 0
A : 스카이 작업시 첨부파일

------------------------- [원 글] -------------------------스카이도 작업계획서를 작성해야하는 건가요 ? 작성을 해야하면 어떤 항목에 근거하여 작성을 해야하나요 ?작성을 해야한다면 양식도 받아볼수있을까요 ? ------------------------- [원 글] -------------------------안녕하세...



16-03-08 · 2,545 · 0
A : 건강검진관련

부득이한 사유(타 지역 전출, 검진기관 폐업 등)를 제외하고는 1차 검진기관과 동일한 검진기관에서 2차 검진을 받으셔야 합니다.근로자를 채용할 것인지의 판단여부는 사업주의 고유권한이므로 굳이 채용을 하려한다면 건강검진 자료와 근로계약서 등을 받아놓으시기 바랍니다.------------------------- [원 글] ---------------------...



16-03-07 · 2,036 · 0
A : 사무직근로자의 근골격계유해요인조사

------------------------- [원 글] -------------------------사무직만 근로하는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보건관리자입니다.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를 3년에 한번 해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근골격계부담작업체크리스트 작성시 개인별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보관하여야 하나요?부서별(공정별)로 작성하여 보관하면 될까요?참...



16-03-04 · 2,782 · 0
A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 [원 글]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업체에 청구할때 필요한 서류들은 무엇인가요?------------------------- [원 글] -------------------------안녕하세요~운영자 입니다.협력업체가 원청에 안전보건관리비를 정구할 때 필요한 서류를 말씀하는...



16-03-03 · 1,911 · 0
A : 지하수위저하로 인한문제점

심풀하게 정리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세요~http://www.gigumi.com/278좀 더 자세한 것은...여기를~http://www.kemco.or.kr/iecenter/net/qna_view.asp?clubid=207&boardcode=energyqa&itemid=8991------------------------- [원 글] -----...



16-03-03 · 1,450 · 0
A : 공동안전관리자 선임기준

------------------------- [원 글] -------------------------A(공장),B(공장),C(연구소)로 이루어진 조직에 새로운 자회사(사업자 별도)가 생겨 ABC 사업장에파견 근로의 형태 (법정파견근로 아님)로 업무가 이루어지는 조직이 있습니다. 이외에 순수 생산공정에 연관이 되어 있는 도급사가 있으며, 경비,미화...



16-03-03 · 2,166 · 0
A : 아파트 건설현장 자체점검

------------------------- [원 글] -------------------------안녕하세요 ? 아파트 건설현장에 자체점검 양식이 따로 있나요 ? ------------------------- [원 글] -------------------------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자료실 > 기타자료에 있는 다음 자료...



16-03-02 · 1,933 · 0
A : 작업내용변경시교육 사무직관련

------------------------- [원 글] -------------------------작업내용변경시교육의경우예로들어 사무직->현장직으로의 발령일경우 교육2시간을 진행해야되는것은 맞다고 생각하는데 현장직->사무직으로 발령일경우도 작업내용변경시교육을 진행해야되는지 문의드립니다.------------------------- [원 글] ...



16-03-02 · 2,689 · 0
A : 관리감독자 교육

------------------------- [원 글] -------------------------관리감독자교육관련 문의드립니다.예컨데 산업안전기사자격증 보유자가 회사에 근무중이지만 안전관리자 선임신고를 하지 않았을경우 유자격자가 관리감독자 교육을 진행해도 관리감독자교육이 인정이 되는지 문의드립니다.만약 인정이 된다면 필요한 서류등은 무엇이 필요한지 문...



16-02-29 · 2,557 · 0
A : 무재해시간산정 첨부파일

------------------------- [원 글] -------------------------안녕하세요 ? 무재해 시간을 산정 하려고 하는데 인원에 덤프트럭 기사분들도 포함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인원을 잡을 때 기준이 궁금합니다 ^^------------------------- [원 글] -------------------------안녕...



16-02-29 · 2,487 · 0
A : 산재보고 지연 첨부파일

------------------------- [원 글] -------------------------3일 이상의 휴업을 요하는 재해가 발생시, 30일 이내에 노동청에 재해조사표를 작성해서 보고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규정을사업주가 고의적으로 (유권해석 등) 신고하지 않는 경우 과태료 등 처분이 있는데요 이해가 안가는 건, 근로복지공단에 요양신청을 하는 ...



16-02-29 · 2,066 · 0
게시물 검색
사이트소개 공지사항 1:1문의 이용약관        모바일버전 414
SINCE 2003 © iSAFETY.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