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하단 검색창 입력에 따른 출력 예
* 신입.(콤마) 입력 → 신입만 출력
* 경력.(콤마) 입력 → 경력만 출력
* 건설 선택, 경력.(콤마) 입력 → 건설&경력 출력
* 제조 선택, 충북 입력 → 제조&충북 출력
사이트 내 전체검색
 


처음으로 안전뉴스 구인정보 Q & A 자료실
 


Q & A

안전보호구 착용 관련 질의

페이지 정보

안전보호구 작성일17-01-13 1,371 1

본문

황산,염산을 사용하는 사업장입니다

 

질의 드릴것이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황산,염산은 사업장내에서만 제품 제조시에 사용되며

 

사고대비물질 보호구관련기준에의한 보호구는 보호구함에 비치 되어 있습니다.

 

저장탱크안에 있어 계량탱크로 이송하여 작업하는것인지라

 

현재 일반작업화,코팅장갑외에 방진마스크말고는 착용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완제품을 이송하는 탱크로리 기사의 경우

 

사고대비위험물질이 아니고 MSDS상에서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는 경고의 표시만있습니다.

 

그러므로, 코팅장갑,마스크만 지급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궁금한것은


이와 같은 각각의 상황에서 안전보호구 착용기준을 어떻게 세워야좋을지 고민이 되어집니다.


정리하자면



 1. 현재 안전보호구의 사용현황 (염산,황산의 모든 보호구는 보호구함에 전부 비치)


제품 제조시(황산,염산을 원료로 사용하나 저장탱크에서 펌프로 이송하므로 작업편의상 이와 같이 사용중입니다)  : 일반작업화, 코팅장갑, 방진마스크


완제품 탱크로리로 이송시(피부자극의 경고위험문구만 있는 완제품) : 코팅장갑, 마스크


​2. 모든 사고대비물질(염산,황산)의 보호구는 보호구함에 비치되었으나 1.과같은 작업시

    이렇게 사용중입니다.


개인보호구지급대장을 작성을 다시 하고 전반적인 부족한 안전보호구의 체계를 개선을 하고자합니다.

 

  어떻게 개선을 해나아가야할지 고민을 하는중입니다


   현재와 같이 개인 보호구를 지급 및 개인보호구 지급대장을 작성하는것과

   또, 사고대비물질을 다루는 제조현장을 작업복이아닌

   사고대비물질에 맞는 안전장화,3형식옷,안전장갑,마스크를 착용해야하는지

   하지만, 이와 같이 할 경우 생산시 반발이 너무 클 것 같고

   안전을 위해서이지만 활동성도 불편하고 매일하는 일상작업인지라

   어떻게 해야 좀 더 효율적이고 법도 지킬수 있는지 조언 좀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댓글목록

긴안전님의 댓글

긴안전

우리가 다 아는 얘기입니다.
1.인식 > 2.시설 > 3.보호구
첫째는 뭐라해도 인식의 변화 입니다. 그 다음이 시설 개선이며 최후의 보루가 보호구 입니다.
인식변화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투자도 많이 해야하며 가장 어렵습니다.
시설개선도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리고 투자도 어느 정도 해야합니다.
보호구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기에 선호하지만, 그 반대로 구색만 맞춘 보호구를 착용하는 입장에서는 가장 싫어합니다.
그냥 보호구를 착용하라고 하면 절대 변하지 않습니다. 이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매번 하는 말이지만 경영자의 마음이 우선적으로 변화가 되어야 하며 시설개선에 인색하지 않고 투자를 많이 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보호구 착용 등에 솔선수범해야 합니다.
그리고 효율적인 보호구 착용이 되기 위해서는 보호구는 착용이 쉽고 작업에 많은 부담을 주지 않아야 하며 디자인이 좋아야 합니다. 즉, 가격이 비싸도 좋으면 근로자를 위해 구입하여야 합니다.
사내 지침 등을 제정 및 수정하여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 동기를 부여하는 것도 좋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겁니다. 아쉽지만 지금에 있어서는 님이 실시하는 방법이 그 사업장에서는 가장 현실적인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답변 못 드려서 죄송합니다...ㅜㅜ



Q & A

전체 15,588건 27 페이지
Q & A 목록
A : 갈탄이용 콘크리트 양생보양

------------------------ [원 글] ------------------------월요일 오전 타설 후 저녁에 갈탄을 이용해서 콘크리트 보양할 예정인데코사 가이드를 보니 작업허가서가 있는데, 최종 허가자를 누구로 사인해야하나요?협력에서 시행하는거면 협력업체에서 작성하여 원청이 최종허가자인가요 ?------------------------ [...



17-01-14 · 1,513 · 0
A : 특수건강진단 배치전/배치후 관련 문의 첨부파일

------------------------ [원 글] ------------------------건설현장 협력업체 안전관리자입니다.금속(용접) 작업이 주 공정 중 하나라서, 해당 작업자들이 계속해서 충원될 예정입니다.현재까지 들어온 금속작업자들에 대해서는 배치전 특수건강진단을 받았는데, 이번에 청구서 금액을 확인해보니 1인당 비용이 14~16만원 사이가 ...



17-01-13 · 1,916 · 1
A : 원청하청간에 산재처리

------------------------ [원 글] ------------------------저는 원청 안전관리자구요 저희 하청업체 근로자분이 다쳐서 산재처리를 하게 되었는데,산업재해조사표는 원청인 저희가 처리하는게 맞는건가요?------------------------ [원 글] ------------------------안녕하세요?운영자 입니다.원...



17-01-12 · 1,825 · 0
A : 산재발생 건수 집계 기준 첨부파일

------------------------ [원 글] ------------------------추운날씨에 바쁘신 업무에 수고 많으십니다.안전사고(산재사고)가 발생하면 입찰시 감점 외에도 다양한 불이익이 있다고 들었습니다.이에 관해 몇가지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1. 매달 1회 기술지도를 받는 안전전문회사로 부터,우리가 산재 다발 회사(공사현장이 아...



17-01-12 · 1,533 · 0
A : 비파괴검사 실시 관련법령 질의

------------------------ [원 글] ------------------------압력용기,위험물탱크는 비파괴검사를 실시해야하는것으로 알고있었습니다문득, 비파괴검사는 어떠한 설비들에 실시하고 어떤 기준으로 실시해야한다. 라는것이 있는지알아두면 좋을것같아. 지침과 산안법,화관법등을 찾아보았으나찾지 못하였습니다반드시 필요로 하는 검사인건 알겠는...



17-01-12 · 1,550 · 0
A : 사무직 인원만 있는 회사 선임관련 첨부파일

------------------------ [원 글] ------------------------안녕하세요!현재 저희 회사에는 사무직인원(200명 이상)만 근무하고 있는 회사 입니다.그런 경우에는 안전관리자나 보건관리자를 선임해야하는 의무가 있나요?또한 회사내에서 사고가 발생했을경우 대처방법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17-01-11 · 1,830 · 0
A : 안전인증비용 안전관리비처리가능여부와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위원 해당여부 질의

------------------------ [원 글] ------------------------안녕하세요?KOSHA18001/OHSAS18001 인증관련 컨설팅 비용과 심사비용 등제반 비용 일체가 안전관리비로 처리 가능한지질의 드리오며가능하다면 4번항목인 안전진단비 등으로 처리하면 되는지와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개최 시 근로자위원을 협력업체 직원으로 선정...



17-01-11 · 1,945 · 0
A : 관공사 안전관리자 부실벌점..부과 첨부파일

------------------------ [원 글] ------------------------공사시행중 발주처(관) 에서 안전관리소홀(안전사고3건,골절상등) 로 인하여벌점을 부과한다고 합니다.기타 회사에 대한 벌점 사항은 건기법내용을 참고하였으나안전관리자에게 개인별로 부실벌점 부과를 한다고 하는데 벌점부과시 다른 불이익이있는지 궁금합니다.-------...



17-01-10 · 1,927 · 0
A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준공월 개최여부

------------------------ [원 글] ------------------------당해 현장이 2016년 12월 22일 문서상 준공년월입니다.실제 공사는 소규모 작업(보수 및 지적사항)이 진행중입니다.2016년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3월 6월 9월 시행하였습니다. 12월에도 개최를 해야 하는것인가요?------------------------...



17-01-09 · 1,533 · 0
A : 아래 산재 문의 추가

------------------------ [원 글] ------------------------좀 애매한 상황이라 다시 문의 드립니다.상해 당일 병원에서 X레이 찍었고, 아무 이상없었습니다.일주일 후 계속 아프다고 하여 CT 확인 하니 미세골절이 나왔습니다.병원에서는 조치 필요 없다고 하여서 기브스 등은 없고,진단은 4주 입니다.답변> 진단만으로는...



17-01-09 · 1,174 · 0
A : 파견근로자의 산재주체는

------------------------ [원 글] ------------------------안전하십니까, 궁금증이 발생하였습니다.직발주공사를 수주한 A업체가 있습니다.B업체에서 근로자를 A업체로 파견하여 일을 시행할경우B업체에서 A업체로 파견된 근로자의 산재처리는 B업체에서 처리가 가능한가요?A업체에서 산재보험가입을 하고 산재처리 주체는 A업체에 있...



17-01-06 · 1,403 · 0
A : A : 그렇다면, 산재신고와 산재피승인 주체도 파견업체인가요

아네,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재해보상비용은 그렇다하면, 노동부에 산재신고 주체도 파견사업주가 되는것인가요?요양결정통지도 파견업체로 승인이 나오는것인가요?



17-01-06 · 1,038 · 1
A : 산재 3일 휴업의 기준 첨부파일

------------------------ [원 글] ------------------------모두 바쁘신 업무에 수고 많으십니다.작업반장이 발등이 부었습니다.X레이 촬영에서는 아무이상이 없었습니다.하지만 계속 절뚝거리면서 걸어서CT를 찍어보니, 미세골절이 있었습니...



17-01-05 · 1,937 · 0
게시물 검색
사이트소개 공지사항 1:1문의 이용약관        모바일버전 403
SINCE 2003 © iSAFETY.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