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
A : 수동식 시료채취시 starvation"효과
페이지 정보
운영자 12-11-26 1,270회 0건관련링크
본문
2012-11-26, "성민제" 님이 쓰신 글입니다.
> 1.1.2수동식 시료채취
>
> 수동식 시료채취는 확산원리에 의한 속도로 공기 중 가스와 증기를 포집하는 방법이다. 수동식 시료채취기는 Fick's 확산 제 1법칙에 의해 농도 차에 대한 오염물질의 이동이다. 가스나 증기에 따라 특정한 확산계수(D)를 가지기 때문에 각 물질별로 다른 시료채취속도를 가지게 된다. 결국 확산계수와 시료채취기 모양에 따라 시료채취속도가 결정된다.
>
> 장점: 사용하기 쉽고 전체적인 비용은 능동식 시료채취기에 비해 싸다는 것이다
> 단점: 공인된 방법 중 수동식 시료채취기를 사용한 방법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 사용할 때 시료채취속도가 현장에서도 유효한지 확인해야 한다, 정체된 공기는 시료
> 채취의 “starvation"을 일으킨다. 유속이 높으면 터불런스를 일으킨다.
> 산업 안전을 공부하는 학생인데요 단점을 보다가 starvation과 효과가 무엇인지 궁금해서요 제가 봤을 때 는 스타베이션은 공기가 적을 경시료채취시 채취결핍현상?? 이 일으킨다 이거 같고요 터불런스는 유속이 너무 높아 과잉현상? 넘치는 현상 그런거 같은데 맞는지 여쭤보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자료를 찾아보니 유기용제 시료채취 중 수동식 시료채취 시 성능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 있는데
표면속도를 살펴보면,
1. 표면을 지나는 공기의 움직임이 없으면 표면에 있던 물질이 흡착되고 나면 오염물이 모자라는
기아(결핍) 현상(starvation effect)이 생길 수 있으며
2. 반대로 풍속이 너무 크면 포집된 물질이 밖으로 다시 나오는 퍼내기(scooping effect)현상
즉, 터불런스(Turbulence)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그럼 이만, 안전제일!
> 1.1.2수동식 시료채취
>
> 수동식 시료채취는 확산원리에 의한 속도로 공기 중 가스와 증기를 포집하는 방법이다. 수동식 시료채취기는 Fick's 확산 제 1법칙에 의해 농도 차에 대한 오염물질의 이동이다. 가스나 증기에 따라 특정한 확산계수(D)를 가지기 때문에 각 물질별로 다른 시료채취속도를 가지게 된다. 결국 확산계수와 시료채취기 모양에 따라 시료채취속도가 결정된다.
>
> 장점: 사용하기 쉽고 전체적인 비용은 능동식 시료채취기에 비해 싸다는 것이다
> 단점: 공인된 방법 중 수동식 시료채취기를 사용한 방법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 사용할 때 시료채취속도가 현장에서도 유효한지 확인해야 한다, 정체된 공기는 시료
> 채취의 “starvation"을 일으킨다. 유속이 높으면 터불런스를 일으킨다.
> 산업 안전을 공부하는 학생인데요 단점을 보다가 starvation과 효과가 무엇인지 궁금해서요 제가 봤을 때 는 스타베이션은 공기가 적을 경시료채취시 채취결핍현상?? 이 일으킨다 이거 같고요 터불런스는 유속이 너무 높아 과잉현상? 넘치는 현상 그런거 같은데 맞는지 여쭤보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자료를 찾아보니 유기용제 시료채취 중 수동식 시료채취 시 성능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 있는데
표면속도를 살펴보면,
1. 표면을 지나는 공기의 움직임이 없으면 표면에 있던 물질이 흡착되고 나면 오염물이 모자라는
기아(결핍) 현상(starvation effect)이 생길 수 있으며
2. 반대로 풍속이 너무 크면 포집된 물질이 밖으로 다시 나오는 퍼내기(scooping effect)현상
즉, 터불런스(Turbulence)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그럼 이만, 안전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