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하단 검색창 입력에 따른 출력 예
* 신입.(콤마) 입력 → 신입만 출력
* 경력.(콤마) 입력 → 경력만 출력
* 건설 선택, 경력.(콤마) 입력 → 건설&경력 출력
* 제조 선택, 충북 입력 → 제조&충북 출력
사이트 내 전체검색
 


처음으로 안전뉴스 구인정보 Q & A 자료실
 


Q & A

A : 감전재해 예방조치?

페이지 정보

열심이 작성일04-05-17 1,677 0

본문

음..

제가 누전차단기에 대해서 모아놓은 자료입니다.

지나가다가 잠깐 들렀읍니다.

좋은 하루 돼세요.

+++++++++++++++++++++++++++++++++++++

1.누전 차단기 목적
-교류 600V 이하의 전로에서 인체에 대한 감전사고 및 누전에의한 화재,아아크에의한 기구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단기
*국제 영국규격:Current operated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미국 규격:Ground Fault Circuit Interupter Circuit Breaker

2.누전차단기의 시설장소(법규에 의한 법적요건)
가.60V 초과 전압의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전기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자기 발생하였을 때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한다.(사람이 접촉하는 쉬운장소)
나.반드시 누전차단기를 부설해야 할 장소
-특고압,고압전로 변압기에 결합되는 대지전압300V를 초과하는 저압전로
-주택옥내에 시설하는 전로의 대지전압이 150V를 넘고 300V이하인 경우(저압전로 인입구)
-화약고내의 전기공작물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화약고 이외의 장소에 설치)
-Floor heating 및 Load heating 등으로 난방되는 결빙방지를 위한 발열선 시설 경우
-전기 온상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발열선을 공중에 시설하는 것은 제외)
-풀용,수중조명등,기타에는 준하는 시설에 절연변압기를 통하여전기를 공급하는 경우
(절연변압기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30V를 초과하는 것)
-대지전압150V를 넘는 이동형,가변형전동기를 도전성액체로 인하여 습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다.임의규정(권장되는장소)
-습기가 많은장소에 시설하는 전로 -옥외시설 전로로 사람이 닿기 쉬운장소에 시설하는 전로
-건축공사등으로 가설한 선로 -아케이드 조명설비
-가공전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소
라.누전차단기를 생략할수 있는 장소
-발,변전솨 이에 준하는 장소(항상누설전류),건조한장소,접지저항 3Ω이하 이중절연구고의전기기구,절연물로피복,기술상 절연 불가피한 경우(전기욕기,전기로,전해조등)
마.누전경보기 시설경우(누전차단기대신)-벨또는 부저원칙으로 한다.
-저압,고압전로가 공공 안전 확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비상용조명장치,비상용승강기,철도용신호장치등)

3.누전차단기의 필요성
가.감전재해로부터 인명을 보호한다.
-전기로 충만된 기기에 사람이 노출될 경우 빠른시간내 전로를 차단하여 인명을 보호하는 목적
즉 접촉전압이 30V를 넘으면 안된다. 3종접지와2종접지의차이가 9배이하로 접지되어야 하나 평상 저항치는 이와역으로 되는 것이 상례이다. 예를 들면 R2=10Ω의 경우R3=10/9=약1.1Ω이하로 되어야 되는데 통상의 접지공사에서 어려운일이며 3종접지는 2종접지 보다 접지저항이 높은 값을 차지한다.
따라서 반대로 높은 저항칠르 R3가 갖는 대신짧은 시간에 전로를 차단하여 전위 상승ㅇ르 방지하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누전차단기 설치가 요구되는 것이다.
-보폭전압과 접촉전압저감법
*전기기기 주변1m 위치에 깊이 0.2~0.4m보조 접지선을 개설하고 주 접지선과 접지 시킨다.
*접지기기,철주위에 자갈,콘크리트를 15cm정도 타설한다.(기기 주위에 2m정도는 콘크리트 타설,그 주위에 자갈등 포설

4.누전차단기의종류와특성
가.전류동작형:*차단기부,ZCT(영상변류기).Realy부로구성 & 누전발생시 지락전류를 ZCT검출하여 차단기동작
나.전압동작형:*차단기부,트립코일,검출용접지선으로구성 &누전발생시 기기Frame에 발생하는 대지전압을 트립코일이 검출하여 누전차단기동작
다.

전류동작형에는 전자식과 기계식..

(1)전자식
가)동작방법:ZCT 2차 출력을 직접회로를 이용하여 증폭하고 그 신호파를 SCR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구동시키면 사이리스터에 직열로 연결된 전자장치가 작동하여 차단기를 트립시킨다
나)특징:ZCT이용한 저압전로,고압,특고압의 접지식전로
-실 사용시 별도의 검출용 접지가 필요없다
-기기의 누전은 물론 전로로부터 발생되는 누전도 검출가능하다.
-1개의 ELB가 여러개의 부하긱를 보호할 수 있다
-전압 동작형은 검출용 접지선이 단선될 경우 동작불능이 되지만,전류동작형에서는 그러한걱정이 없다.
다)용량:정격전류 400A까지 30mA감도품 제작이 가능
(2)기계식
가)동작방법:가동철편은 상시 영구자석의 자성에의해 흡인되어있지만 누전이 발생되면 코일에 ZCT의 2차출력전류가 흘러 영구자석의 자속을 소거시키는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가동철편과 계철과의 흡인력보다 트립스프링의 힘이 커질 때 가동철편이 풀려나 차단기를 트립시킨다.
나)특징:GPT를 이용한 고압,특고압,특고압의 비접지식 전로
-검출용 접지는 기기용접지와 겸용불능
-기기용 접지극의 금지구역(3m이상이격)에 설치해야만 한다.
-검출용 접지가 단선되면 동작되지않는다.
다)용량:30mA,125A가 최고며 그 이상은 경제적이다.

5.누전차단기의동작과구성
(1)동작의종류별원리
가)지락시;지락이 발생되면 ZCT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면 유기된전압은 미세하므로 전자회로부에서 증폭된다. 그러면 증폭된전압은 사이리스터를 구동시키고 사이리스터 직열로 연결된 전자장치를 여자하여 기구부 트립시킨다.
나)과부하,단락시:내장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과부하 및 단락사고를 검출하여 차단된다
다)Test button 동작;Test button을 눌름으로써 고의로 영상전류를 흐르게 하여 지락사고시 확실히동작하는가를 확인하는 인위적 동작(월1회정도 시험 테스트를 하면 수명도 연장가능)
라)Surge 동작:전원회로의 Surge 흡수회로가 들어있으므로 계통 Surgerkqkftod하여도 ELB의 전자회로가파손,오동작하는 일이 없다. 또한 ELB에 Surge가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2)구성
가)소호장치:전류의 차단에서 나오는 Arc를 소호하는 장치
나)과전류 트립 장치:선로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검출 트립하는 장치
다)개폐기구:투입,절체를 행하는 레버 메커니즘
라)Test Button:누전차단기의 누전에 의한 차단특성을 확인,점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장치
마)누전 트립장치:ZCT를 내장하여 미소한 전류를 검출하여 누전시 트립시키는 장치

6.누전차단기 설치방법
(1)누전차단기는 인입선의 부하측에 시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원칙적으로 해당기기에 내장,배.분전반내에설치할것)
(2)누전차단기 정격전류 용량은 당해전로의 부하전류이상의전류값 가진 것으로 할 것
(배선은 저압옥내배선에 준할 것. ZCT 2차측 배선은 0.8mm/mm 이상 연동선 사용)
(3)누전 차단기 등의 정격감도 전류는 보통상태에서는 동작하지않도록할 것
(4)전류동작형에 사용하는 옥외전로에 설치할때는 방수형 변압기를 사용또는 방수가된 상자속에 넣어 시설할 것
(5)차단장치 또는 경보장치에 조작전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전용회로로 하고 또한 이에 시설한 개폐기(15A
Fuse 장치)는 누전차단기용 또는 누전경보기라는 표시판을 설치할것(적색)
(6)영상변류기(ZCT)를 해당케이블 부하측 시설 경우 접지선은 관통시키지 말고 전원측에 시설할 경우 접지선은 ZCT를 반드시 관통할 것-이외에는 접저선 ZCT에 관통시켜서는 안되고 특히 서로다른 2회선이상 배선ㅇ르 일괄하여 관통시키지말 것.
 



Q & A

전체 15,588건 500 페이지
Q & A 목록
A : 토공현장 진입계단 설치인건비

d 2006-10-12, "초보안전"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안녕하세요 > 토공현장(사면절취)으로 근로자가 접근하기 위한 진입로가 있습니다. > 그런데 오르막 경사로가 심하여 답단(계단)을 설치하였습니다. > 답단설치시 인건비는 안전관리비로 정산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그리고 답단이 자꾸 무너져 보수를 자주하는편인데 보수비용도 안전관리비로 처리가 가...



06-10-12 · 1,236 · 0
추가 부분

위 질문 사항은 근로자의 작업을 하기 위한 일이지 안전이 아니라고 판단합니다. 하고 싶으면 안전난간대를 설치하여 재료비와 인건비를 사용하면 되는데 너무 속이 보이는 일이고 그렇게라도 해서 안전관리비로 사용하는 곳도 있읍니다. 노동부 감독관에게 걸리면 감해지겠지만 말입니다. 이는 건축 현장에도 해당되는 사항이고 말도 안 되는 안전발판이라고 판매가 되고 있으니...



06-10-13 · 1,066 · 0
A : 안전관리자선임수

2006-10-12, "안전인" 님이 쓰신 글입니다. > 공사금액이 변경되어 물가변동비 포함 1590억원이 되었습니다.그런데 > 물가변동비는 안전관리비 선임시 총공사 금액에서 빼야 한다고 합니다. > 물가변동비가 약 70억원이고 설계용역비 약 48억원 정도 됩니다 > 그럼 1500억원이 안되어 안전관리자를 2명만 선임해도 된다고 하는데 > 공사금액 변경시 ...



06-10-12 · 1,633 · 0
수고 많으십니다

재해율 산정 방법은 여려가지가 있읍니다. 당장 생각나는 건 연천인율이네요. 인터넷 찾아 감리에게 무엇으로 할까 물어 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가진 자료 한가지 같이 올리니 참고 바랍니다. 환산 재해율 = (환산 재해지수/상시 근로자수)X 100 환사 재해지수 = (사망자수X10)+부상자수 상시 근로자수 =(연간 국내 공사 실적액 X 노무비율)/(건설업 월평...



06-10-12 · 1,409 · 0
A : 당뇨 측정기 구입시 안전관리비 계상 가능 여부

제가 일전에 노동부에 유선으로 알아봤는데 혈당계는 근로자의 건강관리에 영향을 주는것으로 보기 힘드므로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오늘도 무사고,무재해 이룹시다. 어이구^^ 2006-10-11, "짱구는 옷말려"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선배님들 수고 많으십니다. > 다름이 아니라 현장에서는 고혈압 의심자에 대한 대책으로 > 혈압측정 및 건강 검...



06-10-12 · 1,639 · 0
A : 타워크레인 기사 특별교육

2006-10-11, "SAFETY" 님이 쓰신 글입니다. > 혹시 타워크레인 기사 특별교육 자료를 구할수 있는 방법이 > 있는지 궁금합니다. > 자료를 가지고 계신 분이 있다면 같이 공유하고 싶습니다. > 도와주십시요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안전자료 > 기타자료 > 타워크레인에 관련한 여러 자료를 참조바랍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



06-10-12 · 1,826 · 0
A : 재해건에 관하여..

재해건수는 올라가지만 재해율은 아예 올라가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한건으로는 크게 재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애기이지 자꾸 산재 처리를 하게 되면 누적되어 결국은 재해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고 수지율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보함료도 인상이 되게 되는 것입니다. 2006-10-10, "초짜베기안전" 님이 쓰신 글입니다. > 가을이지만 아직까지는 무더...



06-10-10 · 1,084 · 0
A : 중량물 및 차량계 건설기계 취급계획서

총괄적으로 보관하면 되겠으나 더 좋은 것은 변경내용에 대해서는 업데이트까지 하는 것이 더 좋다고 봅니다. 2006-10-09, "초보안전"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안녕하십니까. 기나긴 연휴는 잘 보내셨습니까. > 건설현장에서 자체적으로 작성하여 비치해야할 계획서가 > 몇가지 되는걸로 알고있는데 물론 작업전 계획하여 작성해야 > 하겠지만 중량물취급계획서...



06-10-10 · 1,210 · 0
A : 정기검사 실시 시기

2006-10-06, "안전인" 님이 쓰신 글입니다. > 기계,기구별 정기검사 실시 주기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8조의2(검사의 실시시기 ) ①제58조의 규정에 의한 기계·기구 및 설비의 검사는 다음 각호의 1에서 정하는 시기 또는 주기별로 실시한다. -- 생략 -- 4. 정기검사 : ...



06-10-06 · 1,024 · 0
A : 정기검사 실시 시기

그러니까 정리하자면 성능검사후 3년이 지나면 최초 정기검사를 하여야 하는것이고 최초 정기검사 후 매 2년 마다 정기검사를 실시해야 하는지요? 정기검사는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는 설비가 모두 매 2년에 1회씩인지요? 또한 최초자체검사는 완성검사를 기점으로 자체검사 검사주기별로 실시해야 하는지요?



06-10-07 · 1,021 · 0
A : 정기검사 실시 시기

2006-10-07, "안전인" 님이 쓰신 글입니다. > 그러니까 정리하자면 > 성능검사후 3년이 지나면 최초 정기검사를 하여야 하는것이고 > 최초 정기검사 후 매 2년 마다 정기검사를 실시해야 하는지요? > 정기검사는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는 설비가 모두 매 2년에 1회씩인지요? > 또한 최초자체검사는 완성검사를 기점으로 자체검사 검사주기별로 > 실시해야 ...



06-10-07 · 1,040 · 0
A :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자율안전현장

2006-10-02, "초보안전"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안녕하십니까.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 >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우리현장이 유해위험방지계획 대상현장이라 > 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데 당사가 자율안전사로 선정이 되어서 > 분기 1회점검이나 안전공단에 계획서를 제출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 점검하면 된다고 하는데 이에 따라 몇까지 ...



06-10-03 · 1,055 · 0
A : 안전관리비사용여부 .

2006-09-29, "초보안전"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안전관리자의 급여중 특별한성격의 성과급이 아니고 년봉에서 나누기 15개월해서12개월급여를 뺀 3개월분을 보너스개념으로 정당한 시기에 지급받고있습니다. > 이 보너스는 안전관리비로 사용이가능한지요. > 고수님의 답변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1614, 653번 답변을 참조바랍니다...



06-09-29 · 1,460 · 0
A : 안전관리비사용여부 .

2006-09-29, "운영자" 님이 쓰신 글입니다. > 2006-09-29, "초보안전" 님이 쓰신 글입니다. > > 안전관리자의 급여중 특별한성격의 성과급이 아니고 년봉에서 나누기 15개월해서12개월급여를 뺀 3개월분을 보너스개념으로 정당한 시기에 지급받고있습니다. > > 이 보너스는 안전관리비로 사용이가능한지요. > > 고수님의 답변부탁드립니다. ...



06-09-30 · 1,505 · 0
게시물 검색
사이트소개 공지사항 1:1문의 이용약관        모바일버전 접속 248
SINCE 2003 © iSAFETY.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