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
A : 장해보상금 문의요
페이지 정보
안전인 09-12-16 1,243회 0건관련링크
본문
근본적으로 문제를 다시 생각하심이 어떨까 합니다.
공상합의는 쌍방이 원만하게 이루어 져야하는 합의로 경미하거나 장해가 남지 않는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일정 금액을 지급한다 하더라도 분명 장해에 대한 문제가 또 붉어 지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10급의 장해등급은 경미한 재해가 아닌듯 싶구요, 근로복지공단에서 받은 등급도 아닌 장해등급을 가지고 급수에 따른 비용 산출도 어려울꺼 같군요.
어려우시겠지만,
지금 이라도 결정 잘 하셔서 산재처리하심이 어떨까 합니다.
2009-12-15, "안전인"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안녕하세요
>
>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하여 장해가 생겼을시 장해보상금에 대하여 문의 드립니다.
>
> 보통 사고발생시 공상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
>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5월경 발생한 사고로 인하여 공상처리를
>
> 해왔는데 현재 장애등급이 10급정도로 나왔습니다.
>
> 공상처리를 할시 저희는 급여의 70%와 병원 치료비 전액을 지불하고 있습니다.
>
> 여기서 질문입니다.
>
> 1. 공상처리의 경우 급여70%, 회복까지 치료비전액 이렇게하고 끝나는데 장해가 남아서 10급의 경우 294일로 알고 있는데 평균 일당 x 294로 추가 지불을 해야하는지요?
>
> 2. 보상해야 할 금액이 또 있는지? 아니면 덜 지불해야 할것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
> 3. 보통 휴업급여, 치료비용, 장해보상금 이렇게 3가지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요?
>
> 사고발생후 일종의 합의금 인데 이런경우는 처음이라서 답답합니다.
>
>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공상합의는 쌍방이 원만하게 이루어 져야하는 합의로 경미하거나 장해가 남지 않는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일정 금액을 지급한다 하더라도 분명 장해에 대한 문제가 또 붉어 지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10급의 장해등급은 경미한 재해가 아닌듯 싶구요, 근로복지공단에서 받은 등급도 아닌 장해등급을 가지고 급수에 따른 비용 산출도 어려울꺼 같군요.
어려우시겠지만,
지금 이라도 결정 잘 하셔서 산재처리하심이 어떨까 합니다.
2009-12-15, "안전인" 님이 쓰신 글입니다.
> 안녕하세요
>
>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하여 장해가 생겼을시 장해보상금에 대하여 문의 드립니다.
>
> 보통 사고발생시 공상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
>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5월경 발생한 사고로 인하여 공상처리를
>
> 해왔는데 현재 장애등급이 10급정도로 나왔습니다.
>
> 공상처리를 할시 저희는 급여의 70%와 병원 치료비 전액을 지불하고 있습니다.
>
> 여기서 질문입니다.
>
> 1. 공상처리의 경우 급여70%, 회복까지 치료비전액 이렇게하고 끝나는데 장해가 남아서 10급의 경우 294일로 알고 있는데 평균 일당 x 294로 추가 지불을 해야하는지요?
>
> 2. 보상해야 할 금액이 또 있는지? 아니면 덜 지불해야 할것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
> 3. 보통 휴업급여, 치료비용, 장해보상금 이렇게 3가지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요?
>
> 사고발생후 일종의 합의금 인데 이런경우는 처음이라서 답답합니다.
>
>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