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평가 기법
페이지 정보
김선웅 작성일09-12-24 1,044회 0건관련링크
본문
2010년부터 위험성평가기법을 적용하기 시작하고
2012년부터는 의무화한다는 안이 노동부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위험성평가기법 (4M기법) 대로 하자니
성이 안차고, 살짝 신뢰성이라던지... 이런부분에서 짜증이 납니다
그리고 작성방법도 관리감독자가 주축에 되어서 작성을 해야하는데
그 관리감독자가 전문성이 부족한 상태라면, 유해도평가를 하는데
에도 좀.. 문제성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고요...
근로자도 마찬가지고요.. 그래서 제생각에는 전문성있는 전문가가
근로자의 의견을 참조로 해서 작성하는 것이 훨씬 신뢰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 도입방법이나 기법자체가 너무 짜증스러울
정도이고요
그래서 유해성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요소는 빈도,강도는 기본 주축으로
하고, 사업장실정에 맞게 유해요인에 대한 요소를 별도로 갖고
그 유해도를 평가하는 기법을 새로이 작성하여 운영했을 때
위험성평가를 의무화 했을시 문제가 있는 것인지요 ?
지금 방식데로 하는건 시간낭비, 돈낭비 이런생각만 들어서요
불만이네요 ...
2012년부터는 의무화한다는 안이 노동부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위험성평가기법 (4M기법) 대로 하자니
성이 안차고, 살짝 신뢰성이라던지... 이런부분에서 짜증이 납니다
그리고 작성방법도 관리감독자가 주축에 되어서 작성을 해야하는데
그 관리감독자가 전문성이 부족한 상태라면, 유해도평가를 하는데
에도 좀.. 문제성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고요...
근로자도 마찬가지고요.. 그래서 제생각에는 전문성있는 전문가가
근로자의 의견을 참조로 해서 작성하는 것이 훨씬 신뢰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 도입방법이나 기법자체가 너무 짜증스러울
정도이고요
그래서 유해성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요소는 빈도,강도는 기본 주축으로
하고, 사업장실정에 맞게 유해요인에 대한 요소를 별도로 갖고
그 유해도를 평가하는 기법을 새로이 작성하여 운영했을 때
위험성평가를 의무화 했을시 문제가 있는 것인지요 ?
지금 방식데로 하는건 시간낭비, 돈낭비 이런생각만 들어서요
불만이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