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하단 검색창 입력에 따른 출력 예
* 신입.(콤마) 입력 → 신입만 출력
* 경력.(콤마) 입력 → 경력만 출력
* 건설 선택, 경력.(콤마) 입력 → 건설&경력 출력
* 제조 선택, 충북 입력 → 제조&충북 출력
사이트 내 전체검색
 


처음으로 안전뉴스 구인정보 Q & A 자료실
 


Q & A

A : 지게차 면허 문의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운영자 작성일16-10-27 1,941 0

본문

------------------------ [원 글] ------------------------

수고가 많으십니다.

지게차 관련 궁금사항이있어 문의드립니다.

 

현재 당사에 사용하는 지게차는 입식지게차를 포함하여 총4대가 있으며 모두 3톤 미만의 충전식 지게차입니다.

참고로 지게차를 사용하는 근로자는 총7명으로서 1종 보통운전면허를 모두 소지하고있습니다.

건설기계관리법에의거하여 지게차로 분류가 되지 않아 지게차교육도 필요가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에 지게차작업계획서만 작성하고 관리하면 되는지 별도의 지게차교육수료를 하지 않아도 되는지 명확히 판단을 할수가 없어 문의드리오니 답변 부탁드립니다.

또한 산안법상 지게차운영시 조치해야될 사항이 있다면 회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원 글] ------------------------

 

안녕하세요~

운영자 입니다.

 

1. 지게차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 5. 일반사항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1) 작업계획서의 작성

   (다) 작업계획서 작성시기는 다음과 같다.

        ④ 지게차 운전자가 변경되었을 때

 

(10) 운전자의 자격

    지게차 운전은 면허를 가진 지정된 근로자가 한다.

   (가) 건설기계관리법에서 정하는 지게차(전동식으로 솔리드타이어를 부착한 것 중 도로가 아닌 장소에서만 운행하는 것은 제외한다)의 운전은 해당 면허를 가진 지정된 근로자가 해야 한다.

 

* 지게차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 보러가기 → http://www.isafety.co.kr/law/60

 

 

2. 가스동력 지게차 등 원동기를 내장한 지게차(공기주입식 타이어)는 면허를 발급받은 자격자 만이 운전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공기주입식 타이어 지게차는 건설기계 조종사 면허증이 있어야 함.

 

지게차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자격이 필요합니다. 

 

1)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지게차운전기능사)를 취득하고

2) 국.공립병원, 시.도지사가 지정하는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신체검사(적성검사)에 합격한 후 당해 건설기계 조종사 면허증을 교부받으면 됩니다. 

3) 업을 행하기 위한 등록대상은 타이어식으로 들어올림 장치를 가진 모든 지게차입니다.

 

* 건설기계관리법 제26조에 의거 3톤 미만의 지게차의 경우에는 제1종 자동차 운전면허를 소지한 자가 시.도지사가 지정한 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소형 건설기계(지게차 등)의 조정에 관한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건설기계 조종사 면허증을 교부받은자도 가능합니다. 

 

다만, 전동식(Battery Type)으로 솔리드타이어(Solid Tire, 일명 통타이어)가 부착된 지게차는 제외합니다. 왜냐하면 솔리드타이어는 도로주행이 금지가 되어 있기에 운전면허증 자체가 없습니다.

 

 

3. 건설기계관리법 제18조 및 시행령 11조, 시행규칙 제44조에 의거 지게차는 형식승인 및 형식신고의 대상입니다.

 

형식신고 대상의 지게차는 건설기계관리법 시행령 별표1에 의거 타이어식으로 들어올림장치와 조종석을 가진 것이 건설기계의 범위에 들어갑니다.

 

다만, 전동식으로 솔리드타이어를 부착한 것 중 도로가 아닌 장소에서만 운행하는 것은 제외합니다.

 

 

4. 따라서, 위의 2.항과 3.항에 비추어 볼 때 도로가 아닌 장소에서만 운행하는 전동식 솔리드타이어 지게차(전동엔진인 밧데리로 가는 지게차)는 톤수에 관계없이 면허증이 필요 없을 것으로 사료되나, 이 또한 안전을 위해 유자격자로 하여금 운전을 하게함이 좋다고 봅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79조∼183조는 전동식 솔리드타이어 지게차에 대해서도 대부분 적용을 합니다.

 

 

그럼 이만, 안전제일!​ 

 



Q & A

전체 15,588건 38 페이지
Q & A 목록
A : 건설공사의 종류 문의

------------------------ [원 글] ------------------------건설공사의 종류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기존 공장내 수배전반 및 전역간선 설비 공사 時 공사 종류는 일반건설공사(갑)? 아니면 (을) 인지? 문의 드립니다. ------------------------ [원 글] ------------------------안녕...



16-12-19 · 1,450 · 0
A : 안전관리자 건설기술자 법정교육 대상여부 질의 첨부파일

------------------------ [원 글] ------------------------안녕하세요? 평상시 귀 사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는 건설현장 안전관리자 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2조 및 시행규칙 제39조에 의한 안전관리자 법정 직무교육을 70시간 이상 이수한 경우 건설기술인협회에서 주관하는 건설기술자 법정직무교육이 면제되는 것으로 알고 ...



16-12-19 · 1,703 · 0
A : 기술지도의 의미

------------------------ [원 글] ------------------------항상 친절한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건설업 안전비 계상 기준 11조에는'기술지도는 공사기간 중 월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이 의미는 안전기술기관, 혹은 회사와 계약을 하여매월 1회 이상 안전진단 등을 해야 한다는 의미 인가요?현재 기성 미지...



16-12-19 · 1,458 · 0
A : H2,F4 비자 질문 드립니다 첨부파일

------------------------ [원 글] ------------------------외국인 근로자중에 H2,F4비자인 사람들은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증이 아니라 특례외국인근로자취업인정증 이게 있어야만 현장 출입이 가능한 건가요?지금 현장에 취업인정증없이이수증만 받아놓은 외국인근로자들이 몇 명 있는데 노동부 점검시지적사항이될 수 있는지 걱정입니다...



16-12-18 · 2,037 · 3
A : 안전관리자 선임관련 질의 첨부파일

------------------------ [원 글] ------------------------수고가 많으십니다. 항상 좋은 자료와 정보 덕분에 현장 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해소하고있습니다. 현재 당 현장의 경우 900억 현장으로 안전관리자 2명이 선임되어 있습니다. 공부 도중 1500억 이상의 현장에는 건설안전기술사 1명 또는 건설안전기사로 10년이상의...



16-12-18 · 1,794 · 0
A : 안전비 추가 질문

------------------------ [원 글]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항상 애매한 문제는 여기서 좋은 답을 듣고 갑니다.1. 원청에서 초기 계산된 안전비가 원청과 하청의 안전비 합계보다 커야 된다는 뜻입니까?2. 처음 안전비 계산시 부가세 제외한 상태에서 노무비와 재료비 기준으로 한다면, 안전비도 부가세 제...



16-12-16 · 1,603 · 0
A : 하도급시 안전관리비 변경 문의

------------------------ [원 글] ------------------------언제나 수고 많으십니다.아시는 것 처럼 안전 관리비는 공사금액 (부가세 포함 맞습니까?)에 따라 요율이 변합니다.만약 원청 50억 공사를 5억미만 공사 10개로 나눠 줄 경우,1. 총안전관리비 합계는 50억의 1.97%해당금액을 10으로 나눠야 합니까? (5억...



16-12-15 · 1,620 · 0
A : 안전관리비 관련

------------------------ [원 글] ------------------------교량공사현장에서 낙하물방지망을 설치하려합니다. 그런데 공사내역에 없는 항목이라서 하청업체에 외주를 맏기고 차후에 재료비 설치비를 원청 안전관리비로 돌리려하는데 그게 가능한지요 금액이 좀 많으지라 그게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외주업체...



16-12-15 · 1,563 · 0
A : 건설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대상 확인 질의 (

------------------------ [원 글] ------------------------안전하십니까,현재 전기공사업체에서 근무중입니다. 건설업종이고요..1. 아파트 신축현장에서 전기공종 업체의 경우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해야하는지 궁금2. 철도공사현장의 전차선,전철주,빔 설치등 공사의 경우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여부 궁금3. 고속도로공사의 경우 토...



16-12-15 · 1,306 · 0
A : 가설기자재 관련 첨부파일

------------------------ [원 글] ------------------------안녕하십니까 울산에서 근무중인 안전관리자입니다.다름이 아니라 가설기자재 관련 현장에서 많은 가설기자재를 사용중에 있습니다.이것과 관련하여 의무안전인증 대상이 전부 해당될것으로 사료되어 협력업체마다관련서류를 받고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 드리겠습니다.1. 가설기자...



16-12-12 · 1,498 · 0
게시물 검색
사이트소개 공지사항 1:1문의 이용약관        모바일버전 접속 165
SINCE 2003 © iSAFETY.            로그인